美 휘발유 수출 4년 만에 최저…국내 정유업계 반사이익 기대
입력 : 2025. 07. 08(화) 08:04

SK이노베이션 울산공장 전경. 연합뉴스
미국의 휘발유 수출이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감소하면서, 국내 정유사들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수출 증가와 정제마진 개선 등으로 하반기 실적 개선 가능성도 점쳐진다.
8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하루 평균 휘발유 수출량은 2023년 82만 배럴에서 2024년 81만 배럴, 2025년 들어 4월까지는 75만7000배럴로 꾸준히 하락했다.
특히 지난 4월 한 달간 수출량은 63만 배럴에 그쳐 202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수출 감소의 원인으로는 미국 내 일부 정제설비 폐쇄와 내수 공급 우선 기조가 지목된다. 올해만 약 54만7000배럴 규모의 정제설비가 폐쇄될 예정이며, 이는 미국 전체 정제 능력의 약 3%, 글로벌 기준으로는 0.5%에 해당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미국의 휘발유 수요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6월 들어 수요가 전월 대비 4% 증가하면서 정제설비 가동률은 연중 최고치인 94.9%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석유제품 재고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국내 정유업계는 미국발 공급 차질을 반사이익 기회로 삼고 있다.
한국의 대미 석유제품 수출은 빠르게 늘고 있으며, 지난 5월 기준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미국은 현재 한국 석유제품 수출국 중 3위로 올라섰다.
특히 미국향 수출의 80%를 차지하는 항공유는 전년 대비 27%나 증가했다. 미국이 자체 항공유 재고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산 제품 수입을 늘린 데 따른 것이다.
국내 정유사들은 현재 90% 안팎의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약 9%가량 정제 처리량을 추가로 늘릴 수 있어 수출 확대 여력도 충분하다는 평가다.
정제마진 역시 배럴당 10달러 수준으로 유지돼 정유사 수익성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한국 정유사 주식에 대한 외국인의 순매수가 나타나고 있다”며 “아시아 정제마진 호조, 미국 정유업체 주가 상승, 한국의 수출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중”이라고 분석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미국 내 수출 감소와 정제설비 변화는 국내 정유사들에게 기회 요인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수급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해 수익성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최동환 기자·연합뉴스
8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하루 평균 휘발유 수출량은 2023년 82만 배럴에서 2024년 81만 배럴, 2025년 들어 4월까지는 75만7000배럴로 꾸준히 하락했다.
특히 지난 4월 한 달간 수출량은 63만 배럴에 그쳐 202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수출 감소의 원인으로는 미국 내 일부 정제설비 폐쇄와 내수 공급 우선 기조가 지목된다. 올해만 약 54만7000배럴 규모의 정제설비가 폐쇄될 예정이며, 이는 미국 전체 정제 능력의 약 3%, 글로벌 기준으로는 0.5%에 해당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미국의 휘발유 수요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6월 들어 수요가 전월 대비 4% 증가하면서 정제설비 가동률은 연중 최고치인 94.9%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석유제품 재고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국내 정유업계는 미국발 공급 차질을 반사이익 기회로 삼고 있다.
한국의 대미 석유제품 수출은 빠르게 늘고 있으며, 지난 5월 기준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미국은 현재 한국 석유제품 수출국 중 3위로 올라섰다.
특히 미국향 수출의 80%를 차지하는 항공유는 전년 대비 27%나 증가했다. 미국이 자체 항공유 재고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산 제품 수입을 늘린 데 따른 것이다.
국내 정유사들은 현재 90% 안팎의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약 9%가량 정제 처리량을 추가로 늘릴 수 있어 수출 확대 여력도 충분하다는 평가다.
정제마진 역시 배럴당 10달러 수준으로 유지돼 정유사 수익성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한국 정유사 주식에 대한 외국인의 순매수가 나타나고 있다”며 “아시아 정제마진 호조, 미국 정유업체 주가 상승, 한국의 수출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중”이라고 분석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미국 내 수출 감소와 정제설비 변화는 국내 정유사들에게 기회 요인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수급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해 수익성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