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상의, 산정지구 주택공급계획 재조정 건의
지역 주택시장 과잉 공급 우려
“세대수 축소·공공분양 전환해야”
“세대수 축소·공공분양 전환해야”
입력 : 2025. 07. 31(목) 09:15

광주상공회의소는 3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 중인 광주 산정지구 공공주택 개발계획이 지역 주택시장의 안정과 도시계획의 일관성을 저해하고, 지역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국토교통부와 LH에 현행 계획의 재조정을 요청하는 건의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상의는 이번 건의에서 산정지구 개발계획의 공급 세대수를 대폭 축소하고, 공급 방식을 실수요 중심의 공공분양 및 공공임대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의에 따르면 산정지구 개발은 국토부가 2021년 발표한 ‘공공주도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광산구 산정·장수동 일대에 총 1만4000세대(공공임대 7000, 민간분양 6800, 단독주택 200)를 공급하는 대규모 개발 계획이다.
하지만 광주상의는 현재 지역 주택시장 여건이 이러한 대규모 공급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2023년 기준 광주 주택보급률은 105.5%로 전국 평균(102.5%)을 상회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119.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지속적인 공급 확대는 시장 부담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또 인구 감소와 함께 1~2인 가구 중심으로 변화하는 가구 구조 속에서, 외곽 대단지 중심의 공급은 실수요와의 괴리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상원 광주상의 회장은 “광주의 도시 미래와 시민의 삶의 질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주택정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며 “대규모 민간분양이 포함된 현 산정지구 주택공급계획은 전면 재조정돼야 하며, 공급 세대수를 축소하고 공공분양·공공임대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권범 기자 kwonbeom.choi@jnilbo.com
상의는 이번 건의에서 산정지구 개발계획의 공급 세대수를 대폭 축소하고, 공급 방식을 실수요 중심의 공공분양 및 공공임대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의에 따르면 산정지구 개발은 국토부가 2021년 발표한 ‘공공주도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광산구 산정·장수동 일대에 총 1만4000세대(공공임대 7000, 민간분양 6800, 단독주택 200)를 공급하는 대규모 개발 계획이다.
하지만 광주상의는 현재 지역 주택시장 여건이 이러한 대규모 공급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2023년 기준 광주 주택보급률은 105.5%로 전국 평균(102.5%)을 상회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119.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지속적인 공급 확대는 시장 부담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또 인구 감소와 함께 1~2인 가구 중심으로 변화하는 가구 구조 속에서, 외곽 대단지 중심의 공급은 실수요와의 괴리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상원 광주상의 회장은 “광주의 도시 미래와 시민의 삶의 질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주택정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며 “대규모 민간분양이 포함된 현 산정지구 주택공급계획은 전면 재조정돼야 하며, 공급 세대수를 축소하고 공공분양·공공임대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