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언제까지 ‘피해 최소화’만 고민할 텐가
‘탄소중립’ 모두가 실천 나서야
입력 : 2025. 07. 09(수) 18:06
9일 오전 9시를 기해 서해와 남해 연안 등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발령됐다. 전남도도 양식장 등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비상 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바다 환경 변화는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는 요인이다. 탄소배출을 줄이려는 모두의 관심과 함께 양식장 구조 개선 등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장기적 대책이 필요한 때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주말부터 시작된 전국적인 폭염의 영향으로 서해와 남해 중·서부, 제주 연안의 수온이 불과 5~6일 사이에 하루 평균 수온이 2~4도 급상승했다. 특히 주요 관측소인 여수 신월의 경우 지난 6월 28일 23.5도에서 7월 3일 26.8도까지 치솟았고 같은 기간 강진은 22.3도에서 25.6도까지 올라갔다. 전체적인 남해안의 수온도 20.5∼24.9도, 서해안이 21.1∼30.7도로 평년 대비 1도 가량 높게 나타났다. 올해는 장마 기간이 짧고 폭염이 예년보다 빨리 시작돼 주의보 발령 시기도 16일이나 앞당겨졌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업의 피해는 이미 일상이 됐다. 당장 지난해 전남도에서는 고수온으로 여수와 고흥 등 10개 시·군 990어가에서 574억 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수온이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적조 피해도 우려된다. 이미 지난 6월 광양 묘도에서는 혼합적조가 다량 발생해 수산당국이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고수온도 문제다. 현재 바다에서 양식이 이뤄지는 수산물의 서식 한계수온은 강도다리가 섭씨 27도, 조피볼락 28도, 참전복 29도 등이다. 일부 서해안의 경우 벌써 한계수온을 넘어선 셈이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지만 수산당국과 어민이 철저하게 대비하면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전남도는 철저한 사전 대비를 통해 고수온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양식시설 밀집 해역의 어민들도 피해예방에 적극 나서야 한다. 재난으로 다가오는 기후위기 시대, 탄소중립을 위한 모두의 작은 실천이 필요한 지금이다.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