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남 행정통합 논의, 더는 늦출 수 없다
결단 필요한 정치적 리더십
입력 : 2025. 07. 07(월) 17:25
지방소멸 위기와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행정통합의 필요성은 더 이상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전라남도 내 통합 논의는 수년째 정체돼 있다. 전북 완주와 전주가 찬반 논란 속에서도 통합 특례시 추진을 공식화하고 공론화를 이어가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여수·순천·광양은 산업과 생활권을 공유하며 오랜 기간 통합 논의를 이어왔지만, 정치적 입장 차와 주민 여론의 간극으로 매번 무산됐다. 최근에는 ‘경제동맹’을 통해 공동선언까지 나아갔지만, 행정통합의 실질적 진전은 없다. 순천이 적극적으로 통합 필요성을 외치는 반면, 여수와 광양은 ‘3려통합’의 후유증과 행정서비스 형평성 문제를 이유로 거리를 두고 있다. 결국 명분과 기대효과만 앞설 뿐, 통합을 실현할 동력은 아직 마련되지 못한 셈이다. 목포·신안은 더 앞서갔다. 통합 효과 분석 용역을 바탕으로 행정·경제·복지 등 24개 협력과제를 추진하고, 2026년 통합시 출범을 목표로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단체장 동시 낙마로 추진 동력이 사라졌고, 현재는 민간 논의만 명맥을 유지하는 상황이다.
통합에 대한 시·군 간 온도차도 여전하다. 신뢰와 이익이 불분명하다는 일부 주민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반면 청주시와 청원군, 창원·마산·진해 통합 사례는 지역의 외형적 성장과 도시 위상 제고를 이끌어냈다. 완주·전주는 갈등이 있지만, 도지사의 적극적 의지와 특례시라는 목표 아래 논의가 진척되고 있다. 이들 지역은 통합 이후 공공투자 확대, 산업단지 조성, 교통망 확충 등 구체적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확실한 동기와 책임 있는 행정이 결합하면 통합은 충분히 실행 가능한 전략임을 증명한 셈이다.
전남은 언제까지 논의만 반복할 것인가. 통합은 단순한 권한 조정이 아닌, 미래세대를 위한 생존 전략이다. 전남이 제도적 통합에서 계속 뒤쳐진다면, 미래는 더욱 암울해질 수밖에 없다. 주민 공감대 형성과 현실성 있는 로드맵, 정치 리더십의 책임 있는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늦을수록 기회는 사라진다.
여수·순천·광양은 산업과 생활권을 공유하며 오랜 기간 통합 논의를 이어왔지만, 정치적 입장 차와 주민 여론의 간극으로 매번 무산됐다. 최근에는 ‘경제동맹’을 통해 공동선언까지 나아갔지만, 행정통합의 실질적 진전은 없다. 순천이 적극적으로 통합 필요성을 외치는 반면, 여수와 광양은 ‘3려통합’의 후유증과 행정서비스 형평성 문제를 이유로 거리를 두고 있다. 결국 명분과 기대효과만 앞설 뿐, 통합을 실현할 동력은 아직 마련되지 못한 셈이다. 목포·신안은 더 앞서갔다. 통합 효과 분석 용역을 바탕으로 행정·경제·복지 등 24개 협력과제를 추진하고, 2026년 통합시 출범을 목표로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단체장 동시 낙마로 추진 동력이 사라졌고, 현재는 민간 논의만 명맥을 유지하는 상황이다.
통합에 대한 시·군 간 온도차도 여전하다. 신뢰와 이익이 불분명하다는 일부 주민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반면 청주시와 청원군, 창원·마산·진해 통합 사례는 지역의 외형적 성장과 도시 위상 제고를 이끌어냈다. 완주·전주는 갈등이 있지만, 도지사의 적극적 의지와 특례시라는 목표 아래 논의가 진척되고 있다. 이들 지역은 통합 이후 공공투자 확대, 산업단지 조성, 교통망 확충 등 구체적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확실한 동기와 책임 있는 행정이 결합하면 통합은 충분히 실행 가능한 전략임을 증명한 셈이다.
전남은 언제까지 논의만 반복할 것인가. 통합은 단순한 권한 조정이 아닌, 미래세대를 위한 생존 전략이다. 전남이 제도적 통합에서 계속 뒤쳐진다면, 미래는 더욱 암울해질 수밖에 없다. 주민 공감대 형성과 현실성 있는 로드맵, 정치 리더십의 책임 있는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늦을수록 기회는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