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금호타이어 화재 피해 ‘특별대책반’ 가동
행정지원·환경조사·주민 피해 파악
근로자 2300여명 생계유지비 지원
협력업체 경영안정자금 지원 검토
빛그린산단 이전 추진시 적극 지원
근로자 2300여명 생계유지비 지원
협력업체 경영안정자금 지원 검토
빛그린산단 이전 추진시 적극 지원
입력 : 2025. 05. 25(일) 16:00

지난 19일 오전 소방당국이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정준 기자
광주광역시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대책반(TF)을 구성하고 본격 대응에 나섰다. 광주시는 행정적 지원과 환경조사, 주민 피해 접수에 적극 나서는 한편, 고용노동부 등과 협의해 고용 위기 대응책도 마련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이번 화재의 책임과 피해 회복의 주체는 금호타이어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도, 시민 안전과 지역경제를 고려해 자치구와 함께 행정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2공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2차 피해가 확산되자 광산구와 지방고용노동청, 금호타이어 등과 함께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고용 위기에 대한 공동대책을 마련, 6월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대책반은 화재로 피해를 입은 광주공장 인근 주민 보상을 위해 피해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광산구청은 주민 피해 접수를 위해 송정보건지소 1층에 접수처를 마련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 중이다. 이날 15시 기준 피해 신고 인원은 6488명, 신고 건수는 인적 피해 6610건, 물적 피해 3368건, 기타 1041건으로 총 1만1019건으로 집계됐다.
광주시는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대기오염 모니터링을 시간 단위로 실시하고 있으며, 도로청소를 강화하고 악취·실내공기질 검사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량 분진 피해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조사해 보험사에 접수할 계획이다.
이번 화재로 고용 불안을 겪고 있는 근로자는 약 2350명으로, 광주시는 금호타이어가 일방적으로 해고할 수 없도록 노사협의회를 통한 협상과 정부 건의를 병행하고 있다.
앞서 광주시는 행정안전부에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특별교부세를 요청했고, 고용노동부에는 고용위기지역 지정과 고용유지지원금 지급을 건의했다. 그 결과 행안부로부터 특별교부세 5억원을 확보해 광산구에 전달했으며 화재가 발생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2공장과 인근 지역을 특별재난지역·고용위기지역으로 선포해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에 지속적인 건의에 나서고 있다.
재난·위기지역으로 선포되면 사측이 납부해야 하는 의료·고용보험 등을 유예할 수 있으며 피해 지역 복구 예산을 지원 받을 수 있다.
근로자가 월급을 받지 못할 경우 최소생계비를 지원할 수 있으며 저금리 융자를 통한 지원도 가능하다.
화재로 인해 협력업체 213곳의 경영 위기도 우려되고 있다. 금형을 납품하는 직접 협력업체는 3곳으로 지난해 약 8억원의 납품 거래를 했고, 전기설비·자재 등을 납품하는 업체는 210곳으로 지난해 기준 거래 규모는 약 280억원이다. 이에 광주시는 협력업체들이 납품대금을 받지 못할 상황에 대비해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검토 중이다.
광주시는 금호타이어의 빛그린국가산단 이전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금호타이어가 공장 이전을 공식화하고 빛그린국가산업단지 내 토지 매입 대금 완납과 신공장 착공 절차를 선행할 경우, 광주시는 현 광산구 공장 부지의 용도 변경 등 행정 지원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10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1160억원 규모의 빛그린산단 토지 매입 계약을 체결했고, 2029년까지 분할 납부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고용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 환경 조사·피해 회복에 전력을 다하겠다”며 “금호타이어 측과 협의해 공장 재가동·이전 계획이 조속히 추진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17일 오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내 2공장(정련공정)에서 화재가 발생해 직원 1명이 대피 중 건물에서 추락해 골절상을 입었으며, 소방대원 2명도 화상 등 부상을 입었다. 화재는 2공장의 절반 이상을 태우고 76시간만인 지난 20일 진화됐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광주광역시는 이번 화재의 책임과 피해 회복의 주체는 금호타이어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도, 시민 안전과 지역경제를 고려해 자치구와 함께 행정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2공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고 2차 피해가 확산되자 광산구와 지방고용노동청, 금호타이어 등과 함께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고용 위기에 대한 공동대책을 마련, 6월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대책반은 화재로 피해를 입은 광주공장 인근 주민 보상을 위해 피해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광산구청은 주민 피해 접수를 위해 송정보건지소 1층에 접수처를 마련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 중이다. 이날 15시 기준 피해 신고 인원은 6488명, 신고 건수는 인적 피해 6610건, 물적 피해 3368건, 기타 1041건으로 총 1만1019건으로 집계됐다.
광주시는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대기오염 모니터링을 시간 단위로 실시하고 있으며, 도로청소를 강화하고 악취·실내공기질 검사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차량 분진 피해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조사해 보험사에 접수할 계획이다.
이번 화재로 고용 불안을 겪고 있는 근로자는 약 2350명으로, 광주시는 금호타이어가 일방적으로 해고할 수 없도록 노사협의회를 통한 협상과 정부 건의를 병행하고 있다.
앞서 광주시는 행정안전부에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특별교부세를 요청했고, 고용노동부에는 고용위기지역 지정과 고용유지지원금 지급을 건의했다. 그 결과 행안부로부터 특별교부세 5억원을 확보해 광산구에 전달했으며 화재가 발생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2공장과 인근 지역을 특별재난지역·고용위기지역으로 선포해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에 지속적인 건의에 나서고 있다.
재난·위기지역으로 선포되면 사측이 납부해야 하는 의료·고용보험 등을 유예할 수 있으며 피해 지역 복구 예산을 지원 받을 수 있다.
근로자가 월급을 받지 못할 경우 최소생계비를 지원할 수 있으며 저금리 융자를 통한 지원도 가능하다.
화재로 인해 협력업체 213곳의 경영 위기도 우려되고 있다. 금형을 납품하는 직접 협력업체는 3곳으로 지난해 약 8억원의 납품 거래를 했고, 전기설비·자재 등을 납품하는 업체는 210곳으로 지난해 기준 거래 규모는 약 280억원이다. 이에 광주시는 협력업체들이 납품대금을 받지 못할 상황에 대비해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검토 중이다.
광주시는 금호타이어의 빛그린국가산단 이전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금호타이어가 공장 이전을 공식화하고 빛그린국가산업단지 내 토지 매입 대금 완납과 신공장 착공 절차를 선행할 경우, 광주시는 현 광산구 공장 부지의 용도 변경 등 행정 지원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10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1160억원 규모의 빛그린산단 토지 매입 계약을 체결했고, 2029년까지 분할 납부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고용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 환경 조사·피해 회복에 전력을 다하겠다”며 “금호타이어 측과 협의해 공장 재가동·이전 계획이 조속히 추진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17일 오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내 2공장(정련공정)에서 화재가 발생해 직원 1명이 대피 중 건물에서 추락해 골절상을 입었으며, 소방대원 2명도 화상 등 부상을 입었다. 화재는 2공장의 절반 이상을 태우고 76시간만인 지난 20일 진화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