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도 마트도 안 간다…식품·외식 소비 이례적 동반 감소
2년 연속 줄고 올해 1분기도 감소
"건설업 불황 등 경기 부진에 구매력 약화"
"건설업 불황 등 경기 부진에 구매력 약화"
입력 : 2025. 05. 05(월) 08:03

서울 지역 낮 기온이 35도를 기록하는 등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19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전통시장에서 한 상인이 전동휠을 타고 음식을 배달하고 있다.연합뉴스
마트·시장 등에서 식재료 구매와 식당에서 외식이 동시에 줄어드는 전례 없는 현상이 2년 넘게 계속되고 있다.
채소·과일에 이어 가공식품까지 고물가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건설업 등 경기 부진으로 가계 살림이 팍팍해진 탓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음식료품 소매판매지수와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부터 내리 감소세다.
음식료품과 외식 소비는 한 쪽이 줄면 다른 쪽이 늘어나는 등 보완적인 경우가 종종 있다.
의식주 중 '식'에 해당하는 먹거리는 소득 등 외부 요인이 변해도 반드시 소비해야 하는 필수재다. 조리된 음식을 사 먹거나 식자재를 사서 요리해 먹거나 둘 중 한 쪽을 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회적 거리두기로 음식점 소비가 크게 줄었던 2020년이 대표적인 사례다.
당시 음식점 생산은 16.0% 급감했지만 집밥 수요가 늘면서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13년 만에 최대폭(4.6%) 급증했다.
지금처럼 음식료품 소비와 외식 소비가 동시에 줄어드는 것은 특이하다는 것이 정부 측 설명이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처음 있는 현상이다.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2021년까지 매년 증가했지만 2022년 2.5% 줄어든 뒤 3년째 줄었다.
처음엔 배달 음식 수요가 늘어난 점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이제는 배달 매출을 포함한 전체 음식점업 생산이 감소세다.
음식점업 생산은 코로나19 때 급감했다가 2021년과 2022년 2년 연속 반등에 성공했지만 2023년 0.7%, 2024년 1.9% 잇따라 줄었고 감소 폭도 커졌다.
전방위적인 먹거리 소비 감소세는 올해 1분기에도 계속됐다.
올해 1분기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0.3% 줄었다. 음식점업 생산은 3.4% 줄며 2023년 4분기(-4.7%)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식품 물가 고공행진이 이런 추세를 더욱 부추기는 것으로 보인다.
채소·과일 등 농산물 물가는 2023년 이후 이상기온 등 영향으로 폭등세를 보이며 소비자물가를 견인해왔다.
농산물 물가는 최근 안정세를 보이지만 이번에는 작년 말 고환율 기조가 시차를 두고 수입 원재료 가격 등에 반영되면서 가공식품·외식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지난 달 가공식품 물가는 4.1% 올라 2023년 12월(4.2%) 이후 16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외식물가도 3.2% 오르며 작년 3월(3.4%) 이후 13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정부 관계자는 "음식료품 소비가 줄어든 데는 고물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비슷하지만 가격이 싼 품목을 구매하는 것으로 소비 패턴을 바꾼 것도 일부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부진으로 가계 구매력이 약해진 점도 먹거리 소비 위축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국내총생산(GDP)의 약 15%를 차지하는 건설업 생산은 최근 4개 분기 연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20.7% 줄며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3분기(-24.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작년 4분기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소득 상위 40∼60% 가구의 여윳돈은 3분기 연속 줄면서 5년 만에 다시 70만원을 밑돌았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기가 어려워지고 고용도 불안정해지면서 저소득층이 필수재 소비지출을 줄이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채소·과일에 이어 가공식품까지 고물가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건설업 등 경기 부진으로 가계 살림이 팍팍해진 탓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음식료품 소매판매지수와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부터 내리 감소세다.
음식료품과 외식 소비는 한 쪽이 줄면 다른 쪽이 늘어나는 등 보완적인 경우가 종종 있다.
의식주 중 '식'에 해당하는 먹거리는 소득 등 외부 요인이 변해도 반드시 소비해야 하는 필수재다. 조리된 음식을 사 먹거나 식자재를 사서 요리해 먹거나 둘 중 한 쪽을 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회적 거리두기로 음식점 소비가 크게 줄었던 2020년이 대표적인 사례다.
당시 음식점 생산은 16.0% 급감했지만 집밥 수요가 늘면서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13년 만에 최대폭(4.6%) 급증했다.
지금처럼 음식료품 소비와 외식 소비가 동시에 줄어드는 것은 특이하다는 것이 정부 측 설명이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처음 있는 현상이다.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2021년까지 매년 증가했지만 2022년 2.5% 줄어든 뒤 3년째 줄었다.
처음엔 배달 음식 수요가 늘어난 점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이제는 배달 매출을 포함한 전체 음식점업 생산이 감소세다.
음식점업 생산은 코로나19 때 급감했다가 2021년과 2022년 2년 연속 반등에 성공했지만 2023년 0.7%, 2024년 1.9% 잇따라 줄었고 감소 폭도 커졌다.
전방위적인 먹거리 소비 감소세는 올해 1분기에도 계속됐다.
올해 1분기 음식료품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0.3% 줄었다. 음식점업 생산은 3.4% 줄며 2023년 4분기(-4.7%)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식품 물가 고공행진이 이런 추세를 더욱 부추기는 것으로 보인다.
채소·과일 등 농산물 물가는 2023년 이후 이상기온 등 영향으로 폭등세를 보이며 소비자물가를 견인해왔다.
농산물 물가는 최근 안정세를 보이지만 이번에는 작년 말 고환율 기조가 시차를 두고 수입 원재료 가격 등에 반영되면서 가공식품·외식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지난 달 가공식품 물가는 4.1% 올라 2023년 12월(4.2%) 이후 16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외식물가도 3.2% 오르며 작년 3월(3.4%) 이후 13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정부 관계자는 "음식료품 소비가 줄어든 데는 고물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비슷하지만 가격이 싼 품목을 구매하는 것으로 소비 패턴을 바꾼 것도 일부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부진으로 가계 구매력이 약해진 점도 먹거리 소비 위축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국내총생산(GDP)의 약 15%를 차지하는 건설업 생산은 최근 4개 분기 연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20.7% 줄며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3분기(-24.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작년 4분기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소득 상위 40∼60% 가구의 여윳돈은 3분기 연속 줄면서 5년 만에 다시 70만원을 밑돌았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기가 어려워지고 고용도 불안정해지면서 저소득층이 필수재 소비지출을 줄이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