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30] '탄핵·개헌' 엇갈린 표심에 중도층 선택 주목
지난 대선 '이대남 vs 이대녀' 젠더갈등, 일단 수면 아래로
세대 대결보다 "내란 극복·헌정수호" vs "반명·개헌 빅텐트" 관측
입력 : 2025. 05. 04(일) 11:56
제21대 대통령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2일 서울특별시 선거관리위원회 외벽에 대선 투표일 안내 대형 현수막이 게시돼있다. 연합뉴스
사상 초유의 비상계엄 이후 치러지는 21대 대선은 이른바 '내란 극복' 세력과 '반(反)이재명' 연대의 대결로 수렴될 전망이다.

성별 갈등이 첨예하게 벌어졌던 지난 20대 대선과 달리 비상계엄이 모든 이슈를 흡수하면서 성별·세대 간 갈등 구도는 일단 수면 아래로 내려간 모습이다.

◇ 지난 대선 '이대남녀' 대립, 비상계엄 사태서 희석된 측면도

지난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의 주요 대척점 중 하나였던 젠더 이슈에서 남녀 표심이 갈렸다.

특히 젠더 이슈에 민감한 20대에서는 이른바 '이대남'(20대 남성)과 '이대녀'(20대 여성)의 대립 구도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지상파 3사 출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20대 이하 남성에서 58.7% 지지도를 기록하며 36.3%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큰 차이로 제쳤다.

반면 20대 이하 여성에서는 이 후보가 58.0%, 윤 후보가 33.8%의 지지도를 각각 기록하며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두 후보의 정책 공약도 엇갈렸다. 윤 후보는 여성가족부 폐지, 병사 월급 200만원 등 이대남을 전략적으로 공략했지만, 이 후보는 '구조적 성차별' 문제를 인정하며 윤 후보와 차별화에 나섰다.

이번 대선에서는 성별에 따라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이슈가 부각되지 않고 있다.

과거 정책 의제를 주도했던 젠더 이슈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그보다는 비상계엄과 탄핵 등 정치 이슈에 이목이 쏠렸다는 분석이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통화에서 "이번 대선은 모든 이슈가 계엄과 탄핵이라는 깔때기에 끌려 들어가는 상황"이라며 "특히 젠더 문제는 갈등의 불씨가 큰 만큼, 양 진영 모두 이 부분을 강하게 자극하려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대선 후반으로 갈수록 성별 지지층 결집이 두드러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20∼30대 여성은 비상계엄 후 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응원봉' 시위를 주도하며 존재감을 드러낸 바 있다.

반대로 젊은 남성층에선 윤 전 대통령 옹호 움직임도 감지됐다. 범보수 진영을 중심으로 또다시 이대남에 소구하기 위한 정책이 제시될 가능성도 있다.

◇ 세대·이념 대결 구도 약해졌나…양측 중도 확장 주력할 듯

세대·이념 대결 구도도 현재로서는 두드러지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 대선에서 국민의힘은 2030 세대의 전폭적 지지를 확보해 부모 세대인 6070의 지지세를 끌어낸다는 이른바 '세대포위론'을 전략으로 내세웠으나, 이번 대선에서는 이같은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유력한 대선 후보인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오히려 이념 대결 구도를 지양하고 '국민 통합'을 앞세워 외연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이 후보는 대선 후보로 확정된 직후 보수 진영 대통령인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을 포함한 역대 대통령 묘소를 방문했고, 정책적으로도 기본소득을 강조한 과거와 달리 실용주의 경제 기조를 앞세우고 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역시 법인세·상속세 인하와 규제 철폐 등 친기업 공약을 내세우는 한편, 중도 확장을 위한 정책 비전 제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이번 대선은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않고 무당층으로 이탈한 유권자가 과거보다 늘어난 게 특징"이라며 "진보·보수 진영 중 어느 쪽이 이들을 확보하느냐, 또는 확보하지 못하느냐가 중요한 승부처"라고 평가했다.

◇ '이재명이냐 아니냐' 관측 속 '개헌 찬반'도 변수로

결국 이번 대선의 핵심 구도는 '이재명이냐 아니냐'의 전선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현재로선 크다.

민주당은 내란 극복과 헌정 수호라는 가치를 최우선에 둔 '헌정수호연대' 세력을 단단히 구축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은 '반명 전선'을 최대한 넓게 구축해 이 후보의 대세론을 잠재우고 정권을 재창출하겠다는 목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헌 찬반이 주요 변수로 떠오를 가능성도 있다.

이 후보는 개헌보다는 내란 극복이 우선이라는 입장이지만, 범보수 진영에서는 개헌을 고리로 한 '빅텐트' 연대가 거론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윤 실장은 "결국 이번 대선은 진영 간의 대결로 흐르면서 사회적 변화와 흐름, 니즈를 반영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선거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