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같으면 사기업"…공무원 준비 의향 떨어져
입력 : 2025. 05. 04(일) 11:04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이 치러진 5일 서울 강남구의 한 시험장으로 수험생들이 시험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뉴시스
Z세대(199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출생자)는 월급이 같더라도 공무원보다 사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설문 결과, 응답자 중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비중은 10%에 불과했다.

4일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 구직자 2074명을 대상으로 월급이 300만 원으로 같은 경우 사기업과 공무원 중 어디를 선택할지 질문한 결과, '사기업'을 선택한 비중이 53%로 '공무원(47%)'보다 조금 높았다.

'공무원 준비 의향'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69%가 '준비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현재 공무원 시험 준비 중'이라는 응답은 10%에 불과해 과거와 달리 인기가 크게 꺾인 모습을 보였다. '지금은 아니지만 향후 준비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중은 16%였다.

'과거 준비했으나 현재 의향이 없는 응답자(5%)'까지 포함하면 공무원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는 비율은 74%에 달했다.

Z세대가 공무원을 희망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연봉(4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성향과 맞지 않음(20%)', '낮은 성장 가능성(10%)'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밖에 ▲경직된 조직문화(9%) ▲긴 시험 준비 기간(7%) ▲합격 불확실성(6%) ▲커리어 정체 우려(4%) 등 순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고용 안정성(49%)'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정년 보장(17%)', '워라밸(12%)'이라고 답한 경우가 있었고 ▲복지제도(7%) ▲성향에 잘 맞음(7%) ▲성과 경쟁이 덜함(3%) ▲연봉(2%) ▲주변 지인의 권유(2%) 순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직에 대한 기대 연봉 수준은 현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9급 기준 월 269만 원인 현재 공무원 급여에 대해 '300만 원(26%)', '500만 원 이상(25%)'은 돼야 지원 의향이 생긴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어 '350만 원(22%)', '400만 원(21%)', '450만 원(8%)' 순으로 나타났다.

캐치가 지난해 진행한 동일 주제 설문에서도 Z세대의 78%가 공무원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낮은 연봉'과 '직무 비적합'이 주된 이유였고, 희망 연봉으로는 5000만 원이 가장 많이 선택됐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기성세대와 달리 Z세대는 단순 안정성보다는 연봉이나 커리어 발전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공공 부문도 공무원 연봉 인상 등 재정비를 시도하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뉴시스
사회일반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