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농촌마을서 첨단 기술산업 메카 ‘우뚝’
●판교테크노밸리 성장 과정
2004년 산단 조성 등 개발 본격화
입주시작 4년만에 1천개 기업유치
입력 : 2024. 12. 11(수) 18:40
불과 20여년 전까지만 해도 전형적인 농촌 땅이었던 판교에는 현재 1600여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입주 기업 총 매출액은 약 168조원에 달한다. 이에 대한민국 첨단 기술 산업의 심장부로 자리 잡은 판교가 어떻게 탄생하고 성장했는지 알아봤다. 사진은 판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제1판교 일대를 걷고 있는 모습. 나다운 기자
불과 20여년 전까지만 해도 판교테크노밸리(이하 판교)는 전형적인 농촌 풍경을 지닌 땅이었다. 지난 1975년 남단 녹지로 지정된 후 개발제한구역에 준하는 관리를 받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첨단 기술 산업의 심장부로 자리 잡은 판교는 어떻게 탄생하고 성장했을까.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발표한 ‘판교테크노밸리 성장 원동력 분석’ 등에 따르면 판교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지난 1990년대부터다. 1995년, 경기도 성남시 민선 1기 초대 시장은 인구 17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판교지구 주거 전용 신도시 개발 정책을 발표했다. 판교를 인구 100만 거대도시로 만들겠다는 방침이었다.

하지만 성남상공회의소와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이 공동으로 발주하고 경원대 소진광 교수가 연구한 결과(1996)는 성남시의 도시기능을 재편하고 산업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서판교 일대에 110만평 규모의 연구개발단지를, 동판교 일대에 100만평 규모의 첨단산업단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성남의 마지막 개발 가능지구인 판교를 침상도시(bed town)로 개발할 경우 단순 소비도시로 전락, 경제기반이 취약해질 것을 우려한 내용이다. 판교개발은 성남시 자족성, 교통문제, 주변 지역과의 조화, 도시의 정체성 확립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성남시는 연구 결과의 일부를 반영해 1998년 도시기본계획에서 판교지역 210만평을 개발예정용지로 지정, 추후 주거 용지(190만평)와 첨단산업단지(20만평)로 개발하는 계획을 세우며 판교개발 방향을 선회한다. 이후 2001년 개발계획안 확정을 위한 당정회의가 개최되지만, 벤처단지규모에 대한 이견으로 개발계획안이 미확정(정부안 10만평, 경기도안 60만평)됐다가, 경제장관간담회에서 20만평으로 의견이 조율된다. 2004년 판교신도시 실시계획이 승인(판교테크노밸리 20만평 특별계획구역 지정)된 후 2006년 본격적으로 판교테크노밸리 조성이 시작됐다.

판교에 IT기업들이 하나둘씩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2010년 이후부터다. 엔씨소프트, 넥슨, 네오위즈 등의 대기업들이 2013년경 판교에 들어섰으며, 2015년에는 IT·BI·CT 등 첨단 산업 분야 기업들을 1000여개 유치했다. 본격적인 기업 입주가 시작된 지 약 4년 만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낸 것이다.

판교의 성장요인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다.

먼저 지자체가 판교개발 계획과 사업의 전 과정을 주도했다는 점이다. 경기도는 입지 요인이 뛰어난 지역 용지를 원가 수준으로 공급하면서 조기 분양과 조기 입주를 실현했다. 당시 책정된 토지공급 가격은 강남 테헤란밸리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수준으로, 기업들의 판교 이전을 끌어내기에 충분했다. 또 판교 입주기업 업종을 IT 및 IT 관련 R&D 융복합 분야로 제한하며 판교가 타 지식기반산업단지와 차별화된 산업단지로 성장하도록 했다. 특히 글로벌 R&D기업인 프랑스의 파스퇴르연구소와 한국의 KIST가 협력해 설립한 한국파스퇴르연구소를 유치하면서 토지소유권은 경기도가, 건물소유권은 경기도와 과기부가 공동 소유하는 조건으로 부지 무상 제공, 건축비 절반 부담 등의 혜택을 제공했다.

민간 주도 개발에서는 보기 어려운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단지설계도 한몫했다. 경기도는 전체 용지를 기능별(초청연구, 일반연구, 연구지원)로 나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설계했다. 특히 일반연구 용지와 연구지원 용지의 구분은 연구소를 보유 중인 중견기업 유치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관계자는 “신분당선, 경부고속도로 등 서울 및 수도권 전역으로 연결되는 뛰어난 입지적 요건도 판교의 성공 요인 중 하나이지만, 지역 용지를 원가 수준으로 공급해 기업을 유치하고, 업종 제한을 둠으로써 차별화된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등의 지자체의 노력이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나다운·박찬 기자
사회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