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형 DRT’ 도입으로 교통복지 실현해야
지역 특성·운행방식 고려해 도입
도시·농어촌·특수 목적·수단형 등
"철저한 사전조사와 계획 뒷받침"
입력 : 2024. 12. 10(화) 18:15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소멸 위기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 감소가 교통서비스 약화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해 ‘전남형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도입 및 지역 특성별 맞춤 운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연구원은 10일 ‘JNI 이슈리포트-전라남도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발전방안’을 발간하고 지리·산업·경제·관광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전남형 DRT’ 도입을 마중물 삼아 전남 대중교통 서비스의 저변을 확대할 것을 강조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DRT는 승객 요청에 따라 노선과 이용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교통서비스로, 교통수요에 따라 버스, 택시, 승합차 등 다양한 운송수단을 활용할 수 있어 인구소멸 위험지역에 필수적인 교통수단이다.

현재 전남은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지역부터 버스형 DRT를 시범운행하고 있으며, 나주, 영암, 화순에서 운행 중인 ‘콜버스’ 이용객도 지속 증가하고 있는 만큼 지역민 통행패턴에 더욱 맞춤화된 버스형 DRT 보급 확대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전남연구원은 전남형 DRT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추진 전략으로 △도시형(서비스 대체형, 통근·통학형, 산단·공단형, 신도시형), △농어촌형(농촌형, 도서·산간형), △특수 목적·수단형(관광형, 친환경·자율주행형)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유형별 운영방안을 도입할 것을 주문했다.

도시형 DRT의 가장 기본적인 유형인 ‘서비스 대체형’은 DRT의 정의, 면허, 재정지원 등 운영·관리를 위한 명확한 법·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통근·통학형’과 ‘산단·공단형’의 경우, 차량이 붐비는 첨두시간대의 통근·통학은 예약제, 지정좌석제와 고정노선으로 운영하고, 그외 비첨두시간대는 산단 순환, 육아, 학원 등·하원 등 이동 수단으로 활용하는 유형이다.

특히 ‘신도시형’의 경우 남악, 오룡 등 신도시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대중교통 부족지역에 운송수단을 공급, 예산 지원과 관리를 위한 명확한 기준과 통합관리 방안을 마련해 운영 효율성과 이용률 제고에 힘쓸 것을 강조했다.

농어촌형 DRT 중 ‘농촌형’은 공공형 택시를 11인승 승합차로 변경해 지선버스 대체 수단으로 활용하고, 기존 택시 운전면허를 대형택시 면허로 갱신하는 등 버스·택시운송사업의 상생방안을 제시했다. ‘도서·산간형’은 주로 고령층 여성이 이용하는 필수시설(5일장, 대형마트, 병원 등)을 허브 정류장으로 설정하고, 이용자 앱과 물리적 호출 버튼과 함께 운영하는 방식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이상준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특수 목적·수단형 DRT로는 주요 관광지와 버스터미널, 철도역 등을 연계한 ‘관광형’, 신안, 해남, 영광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용량이 높고 미래 모빌리티 선도 지자체를 위한 ‘친환경·자율주행형’이 있다”며 “전남형 DRT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교통수요·수익성 예측, 운영 대수의 적정성 평가 등 철저한 사전 조사 및 계획 수립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전남도 최신뉴스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