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층·비좁은 출입구’…이동약자에겐 아직도 먼 투표소
계단·복도 등에는 점자표시 미비
지하에 있는데 승강기 없는 곳도
"동등한 한표 보장을"…불편 토로
선관위, 교통 및 임시기표소 지원
지하에 있는데 승강기 없는 곳도
"동등한 한표 보장을"…불편 토로
선관위, 교통 및 임시기표소 지원
입력 : 2025. 05. 28(수) 18:17

28일 광주광역시 서구 상공회의소에 설치된 농성2동 사전투표소 안내표지가 지하로 향하는 계단을 가리키고 있다. 윤준명 기자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29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가운데, 광주·전남 지역 일부 투표소가 지하나 고층에 설치되거나, 편의시설이 미비해 이동약자의 불편이 우려된다. 실질적인 참정권의 평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투표소의 접근성과 이용 편의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개선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 오후 찾은 광주광역시 서구 상공회의소 농성2동 사전투표소. 건물 뒤편 장애인 주차구역에서 투표소가 위치한 건물 출입구로 이어지는 길에는 경사로가 구축돼 있지 않았다.
건물 내부 접근성도 마찬가지였다. 지하 1층에 마련된 투표소로 가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계단을 통해 내려가야 했다. 계단과 복도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과 스티커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이동 약자를 위한 안전 손잡이나 안내 시설도 눈에 띄지 않았다.
1층과 지하에 마련된 화장실 역시 출입구가 협소하거나 문턱이 높아 휠체어 이용자의 사용은 사실상 어려웠고, 장애인용 화장실과 비상벨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같은 날 찾은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 상무1동 사전투표소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투표소는 지하 1층에 마련됐지만, 오는 30일까지 이어지는 내부 공사로 인해 정문으로의 진입이 차단된 상태였다.
이로 인해 건물 내부 엘리베이터는 사용할 수 없었고, 투표소로 향하려면 반드시 주차장을 지나 외곽을 크게 돌아가야만 했다. 유일한 접근 경로는 멀리 떨어진 경사로였지만, 이마저도 제대로 된 안내 표기는 갖춰지지 않았다.
가파르고 굽어진 경사로 주변에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이동 안전을 위한 손잡이나 스티커도 전무했다. 건물과 떨어진 외부 경사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는 장애인뿐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고령 유권자에게도 큰 불편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됐다.
인근에 거주하는 김모(74)씨는 “노인들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 자체가 힘든데, 이동약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어 보인다”며 “투표 참여를 독려하면서도 공사가 진행 중인 건물을 굳이 투표소로 지정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이밖에도 행정복지센터 등에 설치된 일부 사전투표소 역시 접근성이 미흡한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급경사 도로나 좁은 출입구 등으로 인해 보행이 불편한 유권자들이 이용하기 어려운 곳도 적지 않았다. 또한 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에 안내된 광주·전남 지역 394개 사전투표소 가운데, 휠체어 리프트나 비상벨 등 이동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을 모두 갖춘 곳은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약자들은 투표 참여 자체가 ‘큰 결심’을 필요로 한다고 토로했다. 단순한 의지 문제가 아니라, 투표소 접근의 물리적 제약이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배영준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는 “장애인들은 지하나 비교적 고층에 위치한 투표소를 이용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투표일, 바닥 보호를 위해 깔린 매트가 점자블록을 가려 시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도 많다”며 “동등한 참정권 보장을 위해서는 투표 도우미 확충 등 실질적인 접근성 확보와 편의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사전투표 당일, 광주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와 협력해 이동약자의 교통 지원에 나서고 있으며, 기표소까지 이동이 어려운 분들께는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모두가 평등하게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준명 기자 junmyung.yoon@jnilbo.com
28일 오후 찾은 광주광역시 서구 상공회의소 농성2동 사전투표소. 건물 뒤편 장애인 주차구역에서 투표소가 위치한 건물 출입구로 이어지는 길에는 경사로가 구축돼 있지 않았다.
건물 내부 접근성도 마찬가지였다. 지하 1층에 마련된 투표소로 가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거나 계단을 통해 내려가야 했다. 계단과 복도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과 스티커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이동 약자를 위한 안전 손잡이나 안내 시설도 눈에 띄지 않았다.
1층과 지하에 마련된 화장실 역시 출입구가 협소하거나 문턱이 높아 휠체어 이용자의 사용은 사실상 어려웠고, 장애인용 화장실과 비상벨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 |
28일 광주광역시 서구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 정문 입구에 내부 공사로 인한 투표자 우회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윤준명 기자 |
이로 인해 건물 내부 엘리베이터는 사용할 수 없었고, 투표소로 향하려면 반드시 주차장을 지나 외곽을 크게 돌아가야만 했다. 유일한 접근 경로는 멀리 떨어진 경사로였지만, 이마저도 제대로 된 안내 표기는 갖춰지지 않았다.
가파르고 굽어진 경사로 주변에는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이동 안전을 위한 손잡이나 스티커도 전무했다. 건물과 떨어진 외부 경사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는 장애인뿐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고령 유권자에게도 큰 불편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됐다.
인근에 거주하는 김모(74)씨는 “노인들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 자체가 힘든데, 이동약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어 보인다”며 “투표 참여를 독려하면서도 공사가 진행 중인 건물을 굳이 투표소로 지정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이밖에도 행정복지센터 등에 설치된 일부 사전투표소 역시 접근성이 미흡한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급경사 도로나 좁은 출입구 등으로 인해 보행이 불편한 유권자들이 이용하기 어려운 곳도 적지 않았다. 또한 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에 안내된 광주·전남 지역 394개 사전투표소 가운데, 휠체어 리프트나 비상벨 등 이동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을 모두 갖춘 곳은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약자들은 투표 참여 자체가 ‘큰 결심’을 필요로 한다고 토로했다. 단순한 의지 문제가 아니라, 투표소 접근의 물리적 제약이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배영준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는 “장애인들은 지하나 비교적 고층에 위치한 투표소를 이용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투표일, 바닥 보호를 위해 깔린 매트가 점자블록을 가려 시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도 많다”며 “동등한 참정권 보장을 위해서는 투표 도우미 확충 등 실질적인 접근성 확보와 편의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사전투표 당일, 광주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와 협력해 이동약자의 교통 지원에 나서고 있으며, 기표소까지 이동이 어려운 분들께는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모두가 평등하게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