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첫 도시관 ‘광주’ 등장
광주시립미술관 2~3층에 조성
‘무등’ 키워드로 광주정신 조망
5·18세대 등 18명 예술인 참여
‘무등’ 키워드로 광주정신 조망
5·18세대 등 18명 예술인 참여
입력 : 2024. 10. 07(월) 18:12
12월 1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이어지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광주관’ 전경. 도선인 기자
제15회 광주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가운데 부록전시 격인 국가관 파빌리온에 첫 도시관으로 ‘광주관’이 조성돼 눈길을 끈다. 광주 파빌리온은 ‘무등: 고요한 긴장’이라는 주제로 오는 12월 1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2~3층에서 이어진다.
2018년 광주비엔날레 행사부터 시작된 국가관 파빌리온은 올해 광주 곳곳 갤러리, 문화기관 등지에 역대 최대규모인 31곳이 마련됐다. 첫 도시관으로 조성된 파빌리온 ‘광주관’은 안미희(전 경기도미술관장) 기획자가 지휘봉을 잡았으며 ‘무등’이라는 키워드 아래 광주비엔날레 존립 이유인 ‘광주정신’을 조망한다.
파빌리온 광주관 ‘무등: 고요한 긴장’은 ‘무등’의 의미가 광주의 지역성과 지난 시간을 대변하는 핵심적인 단서임을 인지하는 데서 출발한다. 특히 이 개념이 광주가 마주했던 5월의 아픔을 보듬는 일에 충실해야 함에 공감하고 이를 현재적 의의로 계승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전시에서는 광주의 5월을 경험한 세대들뿐만 아니라 이를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 그리고 광주의 무수한 공동체들이 참여작가로 등장한다.
전시는 크게 세 개의 키워드인 ‘혁신적 연대’, ‘창의적 저항’, 그리고 ‘지속 가능한 정의’로 구성된다. 처음 눈길을 끄는 것은 ‘무등’과 관련된 프로젝트, 아카이브, 인터뷰, 집담회, 설문조사 등 여러 내용을 집대성한 첫 번째 섹션 ‘혁신적 연대’의 전시물이다. 연구자, 언론인, 문화기획자, 작가, 디자이너 등의 참여자들과 광주정신이 오늘날 제시할 수 있는 가치와 의미의 다양성에 대해 논의한다. ‘무등’이라는 단어의 기원과 ‘무등’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단체, 법인, 음식점 등의 사연을 접할 수 있다.
이후 전시에서는 김신윤주, 김웅현, 나현, 송필용, 안희정, 양지은, 오종태, 윤준영, 이강하, 이세현, 임수범, 장종완, 장한나, 정현준, 조정태, 최종운, 하승완, 함양아 등 총 18인의 작품이 소개된다. 전세대에 거쳐 구성된 작가들은 회화, 사진, 영상, 설치 등 신작 포함 총 50여 점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참여작가들은 세대나 시기, 장르 구분에서 탈피해 도처에 편재하는 고정관념과 부조리의 상황에 응답한다. 이들은 광주의 5월과 그 이후의 시간에 축적된 시민들의 저항 정신을 가시화한다.
전시작 중 5·18민주화운동 시민군 출신 고 이강하 화백의 ‘무등산의 봄’이 눈에 띈다. 이강하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으로 무등산 전경이 드리워져 있는 회화다. 화폭에 펼쳐진 ‘무등산의 봄’은 실재하는 것이기보다 작가가 마음속에 품고 있던 상상 속 모습에 가깝다. 특유의 사실적 묘사를 기반으로 생명력 가득한 남도의 풍경을 그려내 사회가 안고 있는 애환을 끌어낸다.
‘지속 가능한 정의’는 ‘무등’의 화두를 전 인류가 마주한 시급한 문제와 도전으로 확장시킨다. 전시는 기후 위기, 경제 불균형,기술의 남용, 지속되는 전쟁과 에너지 고갈 등 전 지구적인 이슈를 인식한다. 더불어 참여 작가들은 예술을 통해 문명의 욕망이 초래한 기후와 환경의 위기를 가시화하며, 자연을 향한 인류의 왜곡된 태도를 재검토해야 함을 주장한다.
2018년 광주비엔날레 행사부터 시작된 국가관 파빌리온은 올해 광주 곳곳 갤러리, 문화기관 등지에 역대 최대규모인 31곳이 마련됐다. 첫 도시관으로 조성된 파빌리온 ‘광주관’은 안미희(전 경기도미술관장) 기획자가 지휘봉을 잡았으며 ‘무등’이라는 키워드 아래 광주비엔날레 존립 이유인 ‘광주정신’을 조망한다.
파빌리온 광주관 ‘무등: 고요한 긴장’은 ‘무등’의 의미가 광주의 지역성과 지난 시간을 대변하는 핵심적인 단서임을 인지하는 데서 출발한다. 특히 이 개념이 광주가 마주했던 5월의 아픔을 보듬는 일에 충실해야 함에 공감하고 이를 현재적 의의로 계승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전시에서는 광주의 5월을 경험한 세대들뿐만 아니라 이를 직접 경험하지 않은 세대, 그리고 광주의 무수한 공동체들이 참여작가로 등장한다.
전시는 크게 세 개의 키워드인 ‘혁신적 연대’, ‘창의적 저항’, 그리고 ‘지속 가능한 정의’로 구성된다. 처음 눈길을 끄는 것은 ‘무등’과 관련된 프로젝트, 아카이브, 인터뷰, 집담회, 설문조사 등 여러 내용을 집대성한 첫 번째 섹션 ‘혁신적 연대’의 전시물이다. 연구자, 언론인, 문화기획자, 작가, 디자이너 등의 참여자들과 광주정신이 오늘날 제시할 수 있는 가치와 의미의 다양성에 대해 논의한다. ‘무등’이라는 단어의 기원과 ‘무등’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단체, 법인, 음식점 등의 사연을 접할 수 있다.
이후 전시에서는 김신윤주, 김웅현, 나현, 송필용, 안희정, 양지은, 오종태, 윤준영, 이강하, 이세현, 임수범, 장종완, 장한나, 정현준, 조정태, 최종운, 하승완, 함양아 등 총 18인의 작품이 소개된다. 전세대에 거쳐 구성된 작가들은 회화, 사진, 영상, 설치 등 신작 포함 총 50여 점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참여작가들은 세대나 시기, 장르 구분에서 탈피해 도처에 편재하는 고정관념과 부조리의 상황에 응답한다. 이들은 광주의 5월과 그 이후의 시간에 축적된 시민들의 저항 정신을 가시화한다.
전시작 중 5·18민주화운동 시민군 출신 고 이강하 화백의 ‘무등산의 봄’이 눈에 띈다. 이강하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으로 무등산 전경이 드리워져 있는 회화다. 화폭에 펼쳐진 ‘무등산의 봄’은 실재하는 것이기보다 작가가 마음속에 품고 있던 상상 속 모습에 가깝다. 특유의 사실적 묘사를 기반으로 생명력 가득한 남도의 풍경을 그려내 사회가 안고 있는 애환을 끌어낸다.
‘지속 가능한 정의’는 ‘무등’의 화두를 전 인류가 마주한 시급한 문제와 도전으로 확장시킨다. 전시는 기후 위기, 경제 불균형,기술의 남용, 지속되는 전쟁과 에너지 고갈 등 전 지구적인 이슈를 인식한다. 더불어 참여 작가들은 예술을 통해 문명의 욕망이 초래한 기후와 환경의 위기를 가시화하며, 자연을 향한 인류의 왜곡된 태도를 재검토해야 함을 주장한다.
도선인 기자 sunin.d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