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서석대
전일칼럼
취재수첩
테마칼럼
데스크칼럼
당명떼고 정책배틀
사이버펑크
발언대
정치
대통령실
국회
여론조사
선거
정치일반
행정·의회
광주시
광주자치구
전남도
광주의회
전남의회
사회·교육
사건사고
사회일반
5.18
법원·검찰
경찰·소방
환경복지
의료건강
날씨
광주시교육청
전남도교육청
대입수능
대학
스낵뉴스
전남
지역이슈
지역속으로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광양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성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흥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지속가능
지속가능은 가능한가?
공프로젝트
기획시리즈
노샘의 남도역사 이야기
박하선의 사진풍경
백옥연의 문향
이돈삼의 마을이야기
이선의 큐레이터 노트
장민한의 동시대미술 수첩
조사라의 현대미술 산책
차노휘의 길위의 인생
황호균의 사찰문화재 바로알기
이윤선의 남도인문학
우크라이나 전쟁과 고려인
최철의 오페라 오디세이
대신협·지발위
사람들
전일초대석
광주사람들
사람들
스포츠
KIA타이거즈
광주FC
체육일반
문화
문화일반
비엔날레
공연
미술
책
문화 기획
TV·연예
경제
경제일반
기업
유통
건설부동산
농수축협·산림조합
사진영상
오늘의포토
영상뉴스
카드뉴스
게시판
전일게시판
전일알림
PDF 지면보기
오피니언
정치
행정·의회
사회·교육
전남
일주이슈
지속가능
기획시리즈
사람들
스포츠
문화
경제
사진영상
게시판
서석대>'서울난민'
교육의창>교육은 자유다
이선의 큐레이터 노트 66>흑과 백, 문명과 인간의 도...
기고·유정태>광주 의료원의 조속한 설립을 바라며
신임 국가유산청장에 허민 전남대 교수
사설>전남 에너지 수도 기회될 ‘RE100 특별법’
사설>의대생 복귀, 의료정상화 위한 시작이다
외벽 뚫고 택시 지상으로 추락·흉기 휘두른 50대 긴급...
李대통령, 차관급 인선…법제처장 조원철·병무청장 홍소영
부산 북구 아파트서 큰불…"어머니와 큰아들 숨져"
이윤선의 남도 인문학
이윤선의 남도인문학>고흥 마동마을의 자랑스러운 농악 유물
매년 농한기, 이장 집이나 마을 상쇠 어르신 집으로 사람들이 모인다. 농악 상모(象毛)의 전립(戰笠)을 만들...
이윤선의 남도인문학>문화자치 시대의 역사, 국사의 하위 영역화 안돼
“우리는 이 세대에 완전한 역사를 쓸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는 모든 정보를 입수할 수 있고 어떤 문제든 해...
이윤선의 남도인문학>김채원의 몽민화: 잃어버린 꿈을 그리는 민화의 제3시대
마당에 작은 연못을 두고 붓꽃이며 창포며 산나리꽃이며 원추리 따위를 심었다. 사월의 철쭉을 지나 오월엔 창포...
이윤선의 남도인문학> 서대문형무소에서 울려퍼진 민중의 노래와 반백 년의 여정
때는 1974년 7월 13일, 서대문형무소 747호 감방 앞이었다. 때마침 긴급조치 4호에 의거, 구형을 받...
이윤선의 남도인문학> 모내기 풍경 속 백로와 왜가리, 질퍽한 흙 밟고 모 심는 경험
수천 마리가 넘어 보이는 백로와 왜가리 떼들이 새하얗게 내려앉은 들녘으로 신명 난 노랫소리가 들려온다. 일하...
이윤선의 남도인문학>기우뚱한 귄, 남도문화의 비대칭적 아름다움
고 박병천 명인의 북춤사위 중 ‘갈까 말까’ 하는 동작이 있다. 오른쪽으로 가는 듯한데 왼쪽으로 가고, 왼쪽...
이윤선의 남도인문학>‘모란과 풍뎅이의 춤’ 문선영 민화의 새로운 세계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이제는 어린아이라도 알 만한 김영...
이윤선의 남도인문학>무속인들의 집합체 ‘신청’, K-컬처 모태 가운데 하나
전남 진도군은 율향(律鄕)이라는 칭호를 받는 곳인 만큼 조선 음악은 전 민중적으로 보급되어잇을 뿐외라, 현대...
이윤선의 남도인문학>역사 속으로 사라진 '말 달리는 목장'
“산곡(山谷)에 금수를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놓고 말을 기르는 곳을 이름하여 거(阹)라고 한다....
이윤선의 남도인문학>소류아트의 문민화(文民畵)
미국 캘리포니아 오렌지카운티 라하라 작업실 벽면으로 김승유의 민화작품들이 걸려있다. 4월 하순 TSOM 한...
이윤선의 남도인문학>‘간절한 민주의 새벽이 오길’… 망자를 위한 진혼곡
익숙한 멜로디인 듯 낯선 멜로디인 듯 일련의 선율이 흐르기 시작한다. 어떤 물체가 안개 속으로 어렴풋하게 보...
이윤선의 남도인문학>이름도 빛도 없는 남도의 핏빛으로 오늘 우리가…
울리는 꽹과리와 자바라의 굉음이 온몸을 휘갈겨 내리는 소리에 섞인다. 아니 자바라의 굉음이 곤봉 소리인 모양...
이윤선의 남도인문학>우리가 잃어버린 아버지와 어머니네들의 혼 말
김성우 관장이 내게 묻는다. 무슨 글자인지 맞춰 보세요. 일종의 문자 찾기 수수께끼이다. 직선과 곡선이 서로...
이윤선의 남도인문학>세상에서 가장 작은 숲에 난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
불일암 오르는 길/ 우두커니 서 있다/ 비자(榧子) 고목 한그루/ 겉껍질은 세월에 벗겨주고/ 속껍질은 가슴애...
이윤선의 남도인문학>하늘도 땅도 바다도 모두 황톳빛인 남도
동해의 하늘은 바다를 사모해 쪽빛이 되었고 바다는 하늘을 사모해 쪽빛이 되었다. 성경 창세기의 천지창조는 이...
이윤선의 남도인문학>세월호 10주기를 어떻게 맞이해야 할까.
“어느 날 세상이 멈췄어/ 아무런 예고도 하나 없이/ 봄은 기다림을 몰라서/ 눈치 없이 와 버렸어/ 발자국이...
<
1
2
3
4
>
실시간뉴스
1
서석대>'서울난민'
2
교육의창>교육은 자유다
3
이선의 큐레이터 노트 66>흑과 백, 문명과 인간의 도발적인 대화
4
기고·유정태>광주 의료원의 조속한 설립을 바라며
5
신임 국가유산청장에 허민 전남대 교수
6
사설>전남 에너지 수도 기회될 ‘RE100 특별법’
7
사설>의대생 복귀, 의료정상화 위한 시작이다
8
외벽 뚫고 택시 지상으로 추락·흉기 휘두른 50대 긴급체포
9
李대통령, 차관급 인선…법제처장 조원철·병무청장 홍소영
10
부산 북구 아파트서 큰불…"어머니와 큰아들 숨져"
많이 본 뉴스
1
광주 광산구 비닐하우스서 화재, 1동 반소
2
의대생들 ‘학교 복귀’ 선언…“의대 교육·의료체계 정상화 노력”
3
강화도 강화 어민들 “북 방사능 검출은 허위”…유튜버 고소
4
나눔 올스타, 드림에 8-6 승…올스타전 4연승 질주
5
李대통령 “반구천 암각화 세계적 관광자원으로 키울 것”
6
선사시대 생생한 삶…울산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됐다
7
부산 북구 아파트서 화재…"인명 구조 중"
8
이태원 참사 1000일…보라색 목걸이 1000개에 담은 그리움
9
JP모건 “거버넌스 개혁 땐 코스피 2년 내 5000 가능”
10
정청래 “개혁 대표 될 것” vs 박찬대 “개혁은 말이 아닌 실행”…충청권서 첫 격돌
전남일보 PC버전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