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사, 무인기 평양 추락 은폐 정황…군용차에 GPS 달아 조작
김용현 전 장관에 작전 보고 정황도…특검, 고의 은폐 여부 수사
입력 : 2025. 07. 22(화) 08:09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지난 17일 내란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드론작전사령부가 북한 평양에 투입된 군 무인기의 추락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무인기용 GPS를 군용차에 장착해 허위 비행 기록을 조작한 정황이 드러났다.

22일 정치권과 군 소식통에 따르면,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은 지난해 10월 드론사 정찰 작전과 관련해 무인기 1대를 훈련용으로 둔갑시키고, 비행 기록과 손망실 보고서를 허위 작성했다는 증언을 확보하고 수사 중이다.

특검팀은 드론사가 지난해 10월 9일 평양에 투입된 정찰드론 1대가 추락하자, 엿새 뒤인 15일 훈련을 명분 삼아 또 다른 무인기 1대를 띄운 뒤 두 대가 비행한 것처럼 문서를 조작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 과정에서 군용 차량에 무인기용 GPS 장비를 부착해 도로 위를 주행하면서 이동 기록까지 조작한 정황도 확보됐다.

군은 해당 무인기를 “원인 미상으로 손·망실됐다”고 보고했다. 실제 군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는 2400만원 상당의 소형 정찰 드론 1대가 이유 없이 손실 처리된 것으로 기재돼 있다.

해당 의혹을 처음 공개한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정찰드론중대 숙달비행훈련 문건에 ‘10월 15일 무인기 2대(74·75호기)를 투입했다’고 명시돼 있으나, 내부 진술에 따르면 75호기만 실제로 비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미 평양에 추락한 74호기는 ‘분실된 것처럼 보고서에 기재하라’는 상부 지시가 있었다는 증언도 있다.

특검은 이 같은 허위 문서 작성이 ‘행정 미숙’이 아닌 의도적 은폐이자 군 기강을 무너뜨리는 중대한 범죄행위로 보고, 김용대 드론사령관에 대해 허위공문서 작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다만 법원은 “피의자가 사실관계를 인정했고, 증거가 확보돼 있다”며 영장을 기각했다.

특검은 이와 함께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대통령경호처장 재직 당시 드론사의 작전 내용을 보고받은 정황도 수사 중이다. 대통령 경호처장은 군 지휘체계 밖 민간인 신분으로, 군 작전 정보를 전달받는 것은 명백한 규정 위반이다.

김 전 장관은 지난해 9월 국방부 장관으로 자리를 옮긴 뒤에도 김 사령관과 수차례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기 군이 대북전단 살포를 조직적으로 확대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특검은 이 같은 일련의 조작과 보고 체계 위반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개입 여부도 들여다볼 방침이다.
정유철 기자·연합뉴스
법원검찰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