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對美 관세 협상 총력…정상회담 추진
트럼프 서한에 즉각 대책 회의
관세 부과 유예기간 3주 확보
7월 중 정상회담 성사에 주력
관세 부과 유예기간 3주 확보
7월 중 정상회담 성사에 주력
입력 : 2025. 07. 08(화) 13:28

통화하는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EPA=연합뉴스
미국의 관세 부과 예고에 이재명 대통령이 즉각 대응에 나서며, 향후 3주간의 협상 시기를 최대한 활용해 관세 인하를 끌어내겠다는 전략에 돌입했다.
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이 대통령 앞으로 발송한 서한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시점을 7월9일에서 8월1일로 연기한다고 통보한 직후, 대통령실은 긴급하게 대책회의를 소집하고 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이날 오후 1시30분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열린 회의에는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윤성혁 산업정책비서관을 비롯해 윤창렬 국무조정실장과 산업부·기재부·외교부 차관들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 현지에 급파된 위성락 안보실장으로부터 실시간 보고를 받으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관세 인하를 위해 3주간의 유예 기간 동안 협상에 전력 투구할 계획이다. 협상 과정에서 조기 한미정상회담 개최도 주요 전략 중 하나다.
대통령실은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협상 여지를 남긴 제스처로 해석하고 있으며, 실무 접촉뿐 아니라 정상 간 만남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실제로 위성락 실장은 전날 워싱턴DC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회동해 조속한 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전달했고, 미국 측도 공감의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통상 협상이 무산될 경우 임기 초 국정동력 약화와 경제성장 기조의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공식·비공식 채널을 총동원한 ‘올코트 대응’에 나선 상태다.
한편,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통상 문제를 국정의 핵심 과제로 삼고 비상경제점검TF를 가동해 온 만큼, 이번 협상의 성패가 향후 국정 운영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노병하 기자·연합뉴스
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이 대통령 앞으로 발송한 서한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시점을 7월9일에서 8월1일로 연기한다고 통보한 직후, 대통령실은 긴급하게 대책회의를 소집하고 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이날 오후 1시30분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열린 회의에는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윤성혁 산업정책비서관을 비롯해 윤창렬 국무조정실장과 산업부·기재부·외교부 차관들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 현지에 급파된 위성락 안보실장으로부터 실시간 보고를 받으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관세 인하를 위해 3주간의 유예 기간 동안 협상에 전력 투구할 계획이다. 협상 과정에서 조기 한미정상회담 개최도 주요 전략 중 하나다.
대통령실은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협상 여지를 남긴 제스처로 해석하고 있으며, 실무 접촉뿐 아니라 정상 간 만남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실제로 위성락 실장은 전날 워싱턴DC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회동해 조속한 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전달했고, 미국 측도 공감의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통상 협상이 무산될 경우 임기 초 국정동력 약화와 경제성장 기조의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공식·비공식 채널을 총동원한 ‘올코트 대응’에 나선 상태다.
한편,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통상 문제를 국정의 핵심 과제로 삼고 비상경제점검TF를 가동해 온 만큼, 이번 협상의 성패가 향후 국정 운영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