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완도 여순사건 민간인 희생자 직권조사 착수
군법회의 희생자 125명 확인
전남 지역 첫 직권조사 사례
전남 지역 첫 직권조사 사례
입력 : 2025. 07. 04(금) 10:09

여순사건 실무위원회. 전남도 제공
전라남가 여순사건특별법에 따라 완도지역 민간인 희생자 125명에 대한 직권조사에 착수했다. 이는 전남도 내 첫 사례로, 희생자들은 1949년 정부 명령을 거부한 14연대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군법회의에 회부돼 수감된 민간인들이다.
4일 전남도와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1948~1949년 고등군법회의 명령지’에서 여순사건으로 수감돼 희생된 2867명의 명단을 확보, 완도지역에서 가장 많은 125명의 수감자 명단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에 완도지역 직권조사를 요청했다.
이에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는 지난달 말 제13차 위원회 회의에서 완도지역 직권조사 개시 결정을 의결했다.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는 통상 희생자 유족들의 신고를 받아 진상 조사를 하지만 위원회 직권으로도 조사할 수도 있다. 전북 남원지역에서 위원회 직권조사를 한 적이 있으며 전남에서는 완도지역이 처음이다.
직권조사 대상은 완도 6개 읍·면(신지면, 완도읍, 금일읍 등)에 집중돼 있으며, 특히 신지면에서만 112명의 희생자가 확인됐다.
전남도와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는 직권조사를 위한 실무 TF팀을 구성하고 경찰서와 읍면사무소 문서고에 소장 중인 공적 문서를 수집해 대상자 명단과 교차 검증에 나섰다. 도는 이번 완도 조사를 시작으로 광주·전남 전 지역으로 조사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조사는 문서 자료 수집과 현지 참고인 조사, 명단 교차 검증 등을 포함해 8월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후 위원회는 직권조사 검토보고서를 작성해 희생자 여부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이길용 전남도 여순사건지원단장은 “여순사건이 전남 동부권 주요 지역에서 벌어진 사건이 아닌 전남 전 지역에서 일어난, 국가권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 사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유사한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진상규명 등 희생자와 유족 모두의 명예 회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완도지역 여순사건은 1949년 포고령 2호에 따라 완도 6개 읍면 주민 125명이 형무소에 수감돼 희생된 사건으로, 희생자 125명 중 90명은 수감 후 석방됐으나 행방불명됐고, 나머지 35명은 1950년 형무소에서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
4일 전남도와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1948~1949년 고등군법회의 명령지’에서 여순사건으로 수감돼 희생된 2867명의 명단을 확보, 완도지역에서 가장 많은 125명의 수감자 명단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에 완도지역 직권조사를 요청했다.
이에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는 지난달 말 제13차 위원회 회의에서 완도지역 직권조사 개시 결정을 의결했다.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는 통상 희생자 유족들의 신고를 받아 진상 조사를 하지만 위원회 직권으로도 조사할 수도 있다. 전북 남원지역에서 위원회 직권조사를 한 적이 있으며 전남에서는 완도지역이 처음이다.
직권조사 대상은 완도 6개 읍·면(신지면, 완도읍, 금일읍 등)에 집중돼 있으며, 특히 신지면에서만 112명의 희생자가 확인됐다.
전남도와 여순사건명예회복위원회는 직권조사를 위한 실무 TF팀을 구성하고 경찰서와 읍면사무소 문서고에 소장 중인 공적 문서를 수집해 대상자 명단과 교차 검증에 나섰다. 도는 이번 완도 조사를 시작으로 광주·전남 전 지역으로 조사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조사는 문서 자료 수집과 현지 참고인 조사, 명단 교차 검증 등을 포함해 8월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후 위원회는 직권조사 검토보고서를 작성해 희생자 여부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이길용 전남도 여순사건지원단장은 “여순사건이 전남 동부권 주요 지역에서 벌어진 사건이 아닌 전남 전 지역에서 일어난, 국가권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 사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유사한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진상규명 등 희생자와 유족 모두의 명예 회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완도지역 여순사건은 1949년 포고령 2호에 따라 완도 6개 읍면 주민 125명이 형무소에 수감돼 희생된 사건으로, 희생자 125명 중 90명은 수감 후 석방됐으나 행방불명됐고, 나머지 35명은 1950년 형무소에서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