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화재로 광주 도심 대기오염 우려 확산
검은 연기 확산…“재 쌓였다” 신고
유해 화학물질 방출…벤젠 등 검출
유해 화학물질 방출…벤젠 등 검출
입력 : 2025. 05. 18(일) 14:34

17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로 발생한 검은 연기가 광주 도심 전역에 넓게 퍼지고 있다. 독자 제공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가 진화되지 못한 채 장시간 이어지면서, 광주 시민들 사이에 대기오염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지난 17일 오전 7시 11분께 광주광역시 광산구 금호타이어 공장에서 발생한 불은 빠르게 공장 내부로 확산됐다. 특히 샌드위치 패널로 된 건물 구조와 내부의 생고무, 화학약품 등의 가연성 물질로 인해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이 화재로 인해 발생한 짙은 검은 연기는 광주 도심과 무등산 일대까지 퍼졌고, 화재 직후 인근 지역에서는 탄화된 고무 성분으로 추정되는 검은 재가 떨어지고 있다는 제보도 이어졌다. 송정동, 어룡동 등 광산구 일대 주민들은 “대낮에도 시야가 뿌옇고, 차 위에 재가 쌓이는 등 불안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영산강유역환경청의 이동식 측정차량이 17일 광주공장 주변에서 실시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측정 결과도 시민들의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인체 유해성이 높은 이황화탄소, 에틸렌옥사이드, 벤젠, 염화수소 등 주요 유해물질이 다수 시간대에서 검출됐다. 특히 오후 2시에는 이황화탄소가 0.05ppm, 에틸렌옥사이드가 0.046ppm, 벤젠이 0.022ppm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기준값보다 높지 않지만, 지속적 노출 시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 화재가 발생한 정련 공장은 생고무와 다양한 화학약품이 혼합되는 공정으로, 약 20톤의 생고무가 저장되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유해 화학물질이 연기와 함께 대기 중으로 방출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만 오후 10시 이후부터는 해당 물질 모두 불검출됐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고무 및 화학물질 화재는 단순한 화염 피해를 넘어, 대기 중 유해물질 확산이라는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실시간 측정과 함께 신속한 공개, 피해 지역 주민에 대한 건강 모니터링 등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성현 기자
지난 17일 오전 7시 11분께 광주광역시 광산구 금호타이어 공장에서 발생한 불은 빠르게 공장 내부로 확산됐다. 특히 샌드위치 패널로 된 건물 구조와 내부의 생고무, 화학약품 등의 가연성 물질로 인해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이 화재로 인해 발생한 짙은 검은 연기는 광주 도심과 무등산 일대까지 퍼졌고, 화재 직후 인근 지역에서는 탄화된 고무 성분으로 추정되는 검은 재가 떨어지고 있다는 제보도 이어졌다. 송정동, 어룡동 등 광산구 일대 주민들은 “대낮에도 시야가 뿌옇고, 차 위에 재가 쌓이는 등 불안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영산강유역환경청의 이동식 측정차량이 17일 광주공장 주변에서 실시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측정 결과도 시민들의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인체 유해성이 높은 이황화탄소, 에틸렌옥사이드, 벤젠, 염화수소 등 주요 유해물질이 다수 시간대에서 검출됐다. 특히 오후 2시에는 이황화탄소가 0.05ppm, 에틸렌옥사이드가 0.046ppm, 벤젠이 0.022ppm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기준값보다 높지 않지만, 지속적 노출 시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 화재가 발생한 정련 공장은 생고무와 다양한 화학약품이 혼합되는 공정으로, 약 20톤의 생고무가 저장되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유해 화학물질이 연기와 함께 대기 중으로 방출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만 오후 10시 이후부터는 해당 물질 모두 불검출됐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고무 및 화학물질 화재는 단순한 화염 피해를 넘어, 대기 중 유해물질 확산이라는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실시간 측정과 함께 신속한 공개, 피해 지역 주민에 대한 건강 모니터링 등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