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2기, 상호 관세 협상에 전세계 긴장
韓·日 등 동맹국 우선 착수
한국에 25% 높은 비율 책정
"동향주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국에 25% 높은 비율 책정
"동향주시 신중하게 접근해야"
입력 : 2025. 04. 09(수) 09:56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나누고 있다. 국무총리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공정 무역 관행과 대미 무역 흑자를 빌미로 부과한 고율의 상호 관세와 관련 행정부가 교역국들과의 협상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동시다발적으로 협상 시도가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교역에서 큰 흑자를 내는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에 우선 초점이 맞춰지는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현지 시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와 통화를 나누며 상호 관세 문제 등 현안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거대하고 지속 불가능한 한국의 흑자와 관세, 조선, 액화천연가스(LNG) 대량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합작 사업, 대규모 군사적 보호 비용 지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무총리실에 따르면 양 측은 모두에게 유리한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무역 균형을 포함한 경제 협력 분야에서 장관급 협의를 지속하는 것에 합의했다. 사실상 무역 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다.
실제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 대표(USTR)와 협의하기 위해 이날 미국에 도착했다. 한국 정부는 상호 관세와 자동차를 비롯한 품목별 관세의 세율을 낮추고 최소한 다른 나라보다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미국은 지난 2일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대미 관세가 사실상 없는 한국에 25%라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매겼다.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한국을 비롯해 여러 국가가 미국에 무역 장벽 완화와 무역 수지 개선 등을 약속하며 협상을 요청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약 70개 나라가 협상을 요청해 협상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전날 보복 관세로 맞대응한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 즉시 관세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선언했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관세 문제를 협의했다. 이는 동맹국과 먼저 협상한다는 내부 방침이다.
다만 이는 미국의 무역 적자를 신속하게 줄이기 위해 한국과 일본 등 대미 무역 흑자가 많은 국가를 우선해 상대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 인식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 2기는 막대한 무역 적자를 안긴 동맹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불법 이민과 마약 유입을 이유로 지난 2월 관세 부과를 발표한 뒤 협상을 계속해왔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한국과 일본에 양보를 압박해 관세를 일부 인하한 뒤 성과로 홍보하고 다른 국가에는 보복보다 협상이 유리하다는 본보기로 내세울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수입을 늘려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고 조선업 및 LNG 협력을 강화한다는 구상으로 설득에 나섰다. 협상을 서두르기보다는 일본과 유럽 연합 등 경쟁국들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기류다.
수시로 정책 방향을 변경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궁극적인 목적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미국과 섣불리 협상을 타결했다가 나중에 다른 나라가 더 유리한 조건을 받을 가능성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박소영 기자·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현지 시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와 통화를 나누며 상호 관세 문제 등 현안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거대하고 지속 불가능한 한국의 흑자와 관세, 조선, 액화천연가스(LNG) 대량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합작 사업, 대규모 군사적 보호 비용 지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국무총리실에 따르면 양 측은 모두에게 유리한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무역 균형을 포함한 경제 협력 분야에서 장관급 협의를 지속하는 것에 합의했다. 사실상 무역 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다.
실제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 대표(USTR)와 협의하기 위해 이날 미국에 도착했다. 한국 정부는 상호 관세와 자동차를 비롯한 품목별 관세의 세율을 낮추고 최소한 다른 나라보다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미국은 지난 2일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대미 관세가 사실상 없는 한국에 25%라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매겼다.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한국을 비롯해 여러 국가가 미국에 무역 장벽 완화와 무역 수지 개선 등을 약속하며 협상을 요청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약 70개 나라가 협상을 요청해 협상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전날 보복 관세로 맞대응한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 즉시 관세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선언했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관세 문제를 협의했다. 이는 동맹국과 먼저 협상한다는 내부 방침이다.
다만 이는 미국의 무역 적자를 신속하게 줄이기 위해 한국과 일본 등 대미 무역 흑자가 많은 국가를 우선해 상대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 인식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 2기는 막대한 무역 적자를 안긴 동맹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불법 이민과 마약 유입을 이유로 지난 2월 관세 부과를 발표한 뒤 협상을 계속해왔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한국과 일본에 양보를 압박해 관세를 일부 인하한 뒤 성과로 홍보하고 다른 국가에는 보복보다 협상이 유리하다는 본보기로 내세울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수입을 늘려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고 조선업 및 LNG 협력을 강화한다는 구상으로 설득에 나섰다. 협상을 서두르기보다는 일본과 유럽 연합 등 경쟁국들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기류다.
수시로 정책 방향을 변경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궁극적인 목적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미국과 섣불리 협상을 타결했다가 나중에 다른 나라가 더 유리한 조건을 받을 가능성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