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라의 현대미술 산책 8> 관계의 미학
지금 여기, 전시장에서는 다층적인 관계가 맺어 진다 ||199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 인간 간 상호작용 주목||후기산업사회 인간성 상실 진단…미술로 대안과 회복 제시
입력 : 2020. 07. 19(일) 15:19

코로나19 여파로 일상이 달라졌다. 직장, 학교, 쇼핑, 여가 등 삶의 전 분야에 걸친 패러다임이 순식간에 전환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대적 요구 속에서 연결 방식도 진화 중이다. 생생한 대면의 현장이었던 공연과 강연, 전시 등도 디지털 기술을 장착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면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온라인으로 연결되고 소통하는 새로운 트렌드인 '온택트(Ontact)'가 가속화된 것이다. 세계적인 석학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가 인간의 속성을 협업이라고 봤듯이,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초유의 힘든 상황 속에서도 획기적인 방식으로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미술 현장에서는 1990년대 이후 다층적인 관계의 탐색이 본격화됐다. 지난 수 십 년 간 협업, 공유, 만남, 상생, 협력, 상호작용, 참여, 매개 등의 관계지향적인 용어가 유행처럼 생산되었다. 미디어와 네트워크 등 기술 발전과 맞물려 상호 인간적인 관계와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기반을 둔 예술 실험과 실천들이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펼쳐지고 있다.

이러한 미술의 경향을 프랑스 출신 비평가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는 '관계 미학'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관계의 미학』 저서에서 "모든 예술가들의 작품은 세상과 맺은 관계의 다발이며, 또한 다층위적인 관계들을 무한대로 창조해낸다"고 주장한다. 이를 생산하는 미적 장(場)으로서 연회, 축제 등 다양한 유형의 툴을 예술적 맥락으로 개입시킨다.

관계 미학을 잘 대변하는 작가로는 리암 길릭(Liam Gillick),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 필립 파레노(Philippe Parreno), 도미니크 곤잘레스-포에스터(Dominique Gonzalez-Foerster) 등이 있다. 이들이 구현한 설치, 미디어, 퍼포먼스 등의 작품들은 관람객과 다변적인 네트워크 및 다채널적인 소통 양상이 특징이다.

리암 길릭은 사회, 정치, 경제 등의 시스템과 인간이 공명하는 새로운 공간을 만든다. '폐지된 제품' 등 일련의 작품들은 매끈한 산업적 재료인 알루미늄과 플렉시글라스 등을 활용하면서 절제된 형태와 세련된 색감의 미학적 구조를 구축한다. 차갑고 반투명한 건축적인 작품들은 토론과 대화를 위한 플랫폼이 되기도 한다. 그 시각적인 이면에는 산업화·자본화의 질료를 둘러싼 인간적인 환경과 정치·사회적 작동 원리들이 담겼다.

구겐하임미술관 휴고보스상을 수상한 피에르 위그는 지역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및 미적 감흥의 확산을 시도한다. 그의 퍼포먼스 영상작품 '강가의 날'은 부동산 개발로 새롭게 들어선 뉴욕주 북부 작은 마을의 축하연을 고안하면서 공동체 의식을 구축한다. 2014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선보인 장소 특정적 퍼포먼스 '네임 아나운서'에서는 좀 더 열린 형식의 시나리오와 즉흥적인 반응을 강화했다. 전시관에 입장하는 관람객의 이름을 정중하게 물어보고 호명하는 '네임 아나운서'는 일상적인 유형의 퍼포먼스에서 벗어나 관객에 따라 변화하는 환대의 행위를 보여준다.

미디어의 발달은 전통적인 예술적 장소 너머로 관계를 확장케 한다. 필립 파레노는 미디어적 공간이 어떻게 관계의 결속 공간이 되는 가에 집중한다. 그가 생성한 공간은 시각적인 상호작용이 극대화된다. 2016년 광주비엔날레 출품작 '삶에 존재하는 힘을 넘어설 수 있는 율동적 본능을 가지고'는 LED 스크린과 그 안에 4년 동안 그린 수백 장의 벌레 드로잉 생명체들이 어두운 전시실 공간에서 빛을 발한다. 관람객과 관계 맺기를 위한 시도이자 교류와 교환 작용으로 해석된다. 문학을 차용한 관계예술을 진행해온 도미니크 곤잘레스-포에스터(Dominique Gonzalez-Foerster)의 필름 홀로그램 영상 작품 또한 관람객과 시공간을 뛰어 넘은 관계를 구축한다.

이처럼 199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이 '관계 맺기'에 천착한 이유는 무엇일까?

급격한 산업화를 거쳐 후기산업사회로 넘어오면서 파편화된 현대사회에서의 인간성 상실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회복을 예술의 사회적 역할로 책정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술은 사람 간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리크리트 티라바니자(Rirkrit Tiravanija)가 갤러리에서 '팟타이'를 요리해 관람객과 나눠먹었듯, 때론 전시장과 공동체 안에서 펼쳐졌던 관계의 작용들이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백신'이 아닐까. 물리적인 만남을 넘어선 심리적 유대감의 화학 반응 말이다. 전무후무한 혼돈의 시대를 통과하는 오늘날, 한때 서로 간 온몸으로 부대꼈던 환대와 연대를 이젠 정서적 교감으로 연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일찍이 전염병을 예측했던 미래학자 자크 아탈리(Jacques Attali)가 21세기 필요한 덕목을 '박애'라고 했듯이, 코로나 여파로 물리적인 거리두기는 지속되지만, 공동체 간 유대의 고리는 더욱 견고해지길 바란다.

피에르 위그, '네임 아나운서', 2011-2014, (재)광주비엔날레 제공

리암 길릭, '폐지된 제품', 2008, 출처 리암 길릭 홈페이지

도미니크 곤잘레스-포에스터, 'M.2062(피츠카랄도)', 2014, Courtesy the artist; Esther Schipper, Berlin; 303 Gallery, New York Photo: Giasco Bertoli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

조사라의 현대미술 산책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전남일보 PC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