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다움 통합돌봄' 선진 모델로 국회도 주목
'국회 연구모임' 실천현장 방문
응급의료지원단 등 사례 확인
의원단 "입법으로 뒷받침할 것"
응급의료지원단 등 사례 확인
의원단 "입법으로 뒷받침할 것"
입력 : 2025. 07. 08(화) 17:04

국회의원 연구모임이 8~9일 광주광역시를 방문해 ‘광주다움 통합돌봄’ 정책과 실천 현장을 둘러봤다.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광역시의 대표 공공정책 ‘광주다움 통합돌봄’이 일본 학술대회 초청에 이어 국회의 주목을 받으면서 전국 확산 가능성에 힘을 얻고 있다.
광주시는 8~9일 이틀간 국회의원 연구모임 ‘건강과 돌봄 그리고 인권 포럼’ 소속 권향엽·김윤·남인순·백선희·서미화·이수진·전종덕·전진숙 국회의원 8명이 광주를 방문해 통합돌봄 정책과 실천 현장을 둘러본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내년 3월 전국 시행을 앞둔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 통합지원법’의 조기 안착을 위한 선진사례 확인 차원에서 진행됐다.
의원단은 이날 광산구 수완동 행정복지센터와 들랑날랑 커뮤니티센터, 전남대병원 응급의료지원단, 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 등을 차례로 방문했다.
수완동 행정복지센터에서는 △‘돌봄콜’을 통한 1:1 맞춤형 돌봄 △전담 공무원의 1:1 돌봄 매칭 △고립가구에 대한 의무방문 제도 △행정-민간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산시스템 등 공공의 책임성을 극대화한 ‘광주다움 통합돌봄’ 체계를 확인하고, 현장 간담회를 통해 정책 성과와 확산 방향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들랑날랑 커뮤니티센터에서는 쪽방촌 주민들의 자발적 공동체 활동인 ‘요리나눔교실’, 골목 청소 등 지역환원 사례를 살피며 “단순 서비스 제공을 넘어 ‘관계 기반 돌봄’으로 발전한 공동체 모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공공 의료정책의 핵심인 응급의료 현장도 방문했다. 의원단은 전남대병원 응급의료지원단과 간담회를 통해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운영 중인 ‘원스톱 응급의료 플랫폼’ 구축사례를 공유받았다.
의원단은 9일 광주가 전국 최초로 시작한 ‘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를 방문해 사회적 고립 상태에 놓인 청년들과 가족을 위한 회복지원 활동 사례를 살펴볼 예정이다.
지역의 실천적 돌봄 현장과 직접 소통한 의원들은 “광주는 돌봄의 정의를 새롭게 쓰고 있는 도시다. 이번 현장 방문은 제도와 현실을 연결하는 소중한 계기였다”며 “돌봄이 단지 복지의 영역이 아니라 인간다운 삶의 권리임을 입법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광주시는 8~9일 이틀간 국회의원 연구모임 ‘건강과 돌봄 그리고 인권 포럼’ 소속 권향엽·김윤·남인순·백선희·서미화·이수진·전종덕·전진숙 국회의원 8명이 광주를 방문해 통합돌봄 정책과 실천 현장을 둘러본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내년 3월 전국 시행을 앞둔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 통합지원법’의 조기 안착을 위한 선진사례 확인 차원에서 진행됐다.
의원단은 이날 광산구 수완동 행정복지센터와 들랑날랑 커뮤니티센터, 전남대병원 응급의료지원단, 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 등을 차례로 방문했다.
수완동 행정복지센터에서는 △‘돌봄콜’을 통한 1:1 맞춤형 돌봄 △전담 공무원의 1:1 돌봄 매칭 △고립가구에 대한 의무방문 제도 △행정-민간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산시스템 등 공공의 책임성을 극대화한 ‘광주다움 통합돌봄’ 체계를 확인하고, 현장 간담회를 통해 정책 성과와 확산 방향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들랑날랑 커뮤니티센터에서는 쪽방촌 주민들의 자발적 공동체 활동인 ‘요리나눔교실’, 골목 청소 등 지역환원 사례를 살피며 “단순 서비스 제공을 넘어 ‘관계 기반 돌봄’으로 발전한 공동체 모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공공 의료정책의 핵심인 응급의료 현장도 방문했다. 의원단은 전남대병원 응급의료지원단과 간담회를 통해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운영 중인 ‘원스톱 응급의료 플랫폼’ 구축사례를 공유받았다.
의원단은 9일 광주가 전국 최초로 시작한 ‘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를 방문해 사회적 고립 상태에 놓인 청년들과 가족을 위한 회복지원 활동 사례를 살펴볼 예정이다.
지역의 실천적 돌봄 현장과 직접 소통한 의원들은 “광주는 돌봄의 정의를 새롭게 쓰고 있는 도시다. 이번 현장 방문은 제도와 현실을 연결하는 소중한 계기였다”며 “돌봄이 단지 복지의 영역이 아니라 인간다운 삶의 권리임을 입법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