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신안·영광을 에너지산업 중심지로”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
서남해안 소멸위기 극복방안 제시
광양·여수, 산업위기특별지역 선포
‘광주 최적지’ AI데이터센터 구축
‘국민소환제’·기본적 삶 보장 강조
서남해안 소멸위기 극복방안 제시
광양·여수, 산업위기특별지역 선포
‘광주 최적지’ AI데이터센터 구축
‘국민소환제’·기본적 삶 보장 강조
입력 : 2025. 02. 10(월) 18:20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공영민 고흥군수, 박우량 신안군수, 김한종 장성군수 등 전남지역 시장·군수들이 10일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지방자치대상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0일 풍력과 태양광 자원이 풍부한 신안과 영광을 에너지산업 중심지역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위기를 맞고 있는 철강과 석유화학산업을 살리기 위해 광양과 여수 등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선포할 것을 제안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진행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통해 “우리나라는 에너지원 대부분을 수입하고, 전력망이 고립된 사실상의 섬이어서 에너지 자립과 에너지 안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전력생산지의 전력요금을 낮춰 바람과 태양이 풍부한 신안, 영광 등 서남해안 소멸위기 지역을 에너지산업 중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석탄 비중은 최소화하고 LNG 비중도 줄여가되, 재생에너지를 신속히 늘려야 한다”며 “어디서나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에너지고속도로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또 “최근 한국 주력산업인 철강과 석유화학이 위기를 맞았다. 국산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에 미국 수출이 막힌 중국의 밀어내기가 겹쳤다”면서 “이들 산업은 지역경제의 주축으로 관련 기업이 폐업하면 지역경제는 쑥대밭이 된다. 포항, 울산, 광양, 여수, 서산, 당진이 바로 그곳이다”며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선포를 제안했다.
그러면서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 산업의 재구조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위한 실증사업 지원이 필요하다”며 “직업전환 훈련 등 노동자 대책과 지역상권 활성화 등 구조적 해법을 여야가 함께 논의하자”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특히 AI(인공지능)혁명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국가 AI데이터센터를 만들어야한다. 10만장 이상의 AI반도체 GPU를 가진, AI데이터센터로 AI산업을 지원하자”며 “연구자, 개발자, 창업기업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AI인프라를 구축하면 AI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이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AI 인프라시설이 가장 잘 갖춰진 곳은 광주로, 국가 AI데이터센터의 최적지가 될 것이란 관측이 높다.
지난 2023년 문을 연 광주 AI 데이터센터는 초고성능 컴퓨팅 인프라를 갖춘 AI 특화 데이터센터다.
또 ‘인공지능사관학교’(AI 사관학교)를 통해 역량있는 인공지능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올해 제6기 교육생 330명을 4월30일까지 모집 중이다.
이 대표는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첫 조치로는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을 제안했다. 국민소환제는 국회의원을 비롯한 선출직 공직자를 국민 투표를 통해 임기 만료 전에 파면할 수 있는 제도다.
이 대표는 또 “성장해야 나눌 수 있다. 국민의 기본적 삶을 기본권으로 보장하는 나라, 두툼한 사회안전망이 지켜주는 나라여야 혁신의 용기도 새로운 성장도 가능하다”며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잘사니즘’을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당력을 총동원해서 ‘회복과 성장’을 주도하겠다”며 “‘기본사회를 위한 회복과 성장 위원회’를 설치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당 전남도당은 이날 이 대표 연설과 관련, 환영 성명을 내고 “철강·석유화학산업에서 생산되는 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에 더해 미국 수출길이 막힌 중국의 밀어내기까지 겹치면서 전남지역 경제의 주축인 동부권의 철강·석유화학산업은 위기를 맞고 있다”며 “이 대표의 여수·광양 등의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선포 제안과 신안·영광 등을 에너지산업 중심으로 발전시키자는 제안은 전남의 경제위기 회복과 새로운 성장의 길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원활한 특별지역 지정을 위해 전남도와 여수·광양 등 지자체의 적극적 역할을 기대하며, 석유화학과 철강산업 활황기에 투자액 대비 몇 배나 되는 이익을 거둬온 기업들도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에 부응해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재생에너지 산업의 동서부 균형발전을 위해 신안에 조성되는 해상풍력단지와 함께 총 6.3GW 규모로 조성될 여수 해상풍력단지에도 동등한 배려가 필요한 만큼 정부와 전남도의 균형잡힌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위기를 맞고 있는 철강과 석유화학산업을 살리기 위해 광양과 여수 등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선포할 것을 제안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진행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통해 “우리나라는 에너지원 대부분을 수입하고, 전력망이 고립된 사실상의 섬이어서 에너지 자립과 에너지 안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전력생산지의 전력요금을 낮춰 바람과 태양이 풍부한 신안, 영광 등 서남해안 소멸위기 지역을 에너지산업 중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석탄 비중은 최소화하고 LNG 비중도 줄여가되, 재생에너지를 신속히 늘려야 한다”며 “어디서나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에너지고속도로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또 “최근 한국 주력산업인 철강과 석유화학이 위기를 맞았다. 국산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에 미국 수출이 막힌 중국의 밀어내기가 겹쳤다”면서 “이들 산업은 지역경제의 주축으로 관련 기업이 폐업하면 지역경제는 쑥대밭이 된다. 포항, 울산, 광양, 여수, 서산, 당진이 바로 그곳이다”며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선포를 제안했다.
그러면서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 산업의 재구조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위한 실증사업 지원이 필요하다”며 “직업전환 훈련 등 노동자 대책과 지역상권 활성화 등 구조적 해법을 여야가 함께 논의하자”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특히 AI(인공지능)혁명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국가 AI데이터센터를 만들어야한다. 10만장 이상의 AI반도체 GPU를 가진, AI데이터센터로 AI산업을 지원하자”며 “연구자, 개발자, 창업기업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AI인프라를 구축하면 AI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이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AI 인프라시설이 가장 잘 갖춰진 곳은 광주로, 국가 AI데이터센터의 최적지가 될 것이란 관측이 높다.
지난 2023년 문을 연 광주 AI 데이터센터는 초고성능 컴퓨팅 인프라를 갖춘 AI 특화 데이터센터다.
또 ‘인공지능사관학교’(AI 사관학교)를 통해 역량있는 인공지능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올해 제6기 교육생 330명을 4월30일까지 모집 중이다.
이 대표는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첫 조치로는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을 제안했다. 국민소환제는 국회의원을 비롯한 선출직 공직자를 국민 투표를 통해 임기 만료 전에 파면할 수 있는 제도다.
이 대표는 또 “성장해야 나눌 수 있다. 국민의 기본적 삶을 기본권으로 보장하는 나라, 두툼한 사회안전망이 지켜주는 나라여야 혁신의 용기도 새로운 성장도 가능하다”며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잘사니즘’을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당력을 총동원해서 ‘회복과 성장’을 주도하겠다”며 “‘기본사회를 위한 회복과 성장 위원회’를 설치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당 전남도당은 이날 이 대표 연설과 관련, 환영 성명을 내고 “철강·석유화학산업에서 생산되는 국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에 더해 미국 수출길이 막힌 중국의 밀어내기까지 겹치면서 전남지역 경제의 주축인 동부권의 철강·석유화학산업은 위기를 맞고 있다”며 “이 대표의 여수·광양 등의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선포 제안과 신안·영광 등을 에너지산업 중심으로 발전시키자는 제안은 전남의 경제위기 회복과 새로운 성장의 길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원활한 특별지역 지정을 위해 전남도와 여수·광양 등 지자체의 적극적 역할을 기대하며, 석유화학과 철강산업 활황기에 투자액 대비 몇 배나 되는 이익을 거둬온 기업들도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에 부응해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재생에너지 산업의 동서부 균형발전을 위해 신안에 조성되는 해상풍력단지와 함께 총 6.3GW 규모로 조성될 여수 해상풍력단지에도 동등한 배려가 필요한 만큼 정부와 전남도의 균형잡힌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김선욱 기자·오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