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석대>새로운 세상과 기레기
노병하 디지털콘텐츠부장 겸 사회부장
입력 : 2025. 06. 15(일) 20:54

노병하 기자
요즘, 뉴스 보기가 즐겁다는 사람들이 늘었다. 대통령 한명이 바뀌었을 뿐인데, 모든게 새롭다고 한다. 저러다 쓰러질까봐 무섭다고 하면서도 ‘퇴근 안하는 대통령’ 그저 신기하다고 한다.
언론생활을 하면서 지금까지 정권 바뀌는 것을 몇 번이나 보아왔다.
패턴은 늘 비슷했다. 보수 정권이라고 부르는 이들이 들어오면 언론들 상당수는 밀월 기간을 즐겼다. 진보 정권이 들어오면 일부를 제외하고는 공격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남일보야 광주에 있는 언론사이기 때문에 지역민의 성향이 그대로 나올 수밖에 없다.
광주에서는 글 잘 못 쓰면 돌 맞는 것은 당연지사고, 지역민의 의중을 파악하지 못하면 “거기 배레 부렀어”라는 지청구가 바로 날아온다.
이 지역이야 5·18을 경험하면서 독재, 혹은 독재 비슷한 것에는 체질적으로 치를 떨 수밖에 없는 이들이 태반이고, 그들을 독자로 둔 신문사이기에 지역민의 성향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 이것 또한 사실 우리의 자랑이다.
광주, 전남이 아니라면 지난 12월 계엄때부터 목숨을 걸고 기사를 쓸수 있었겠는가.
덧붙여 전남일보의 논조는 독자를 가르치려 들지 않는다. ‘계몽’이라는 턱 없는 객기는 태생부터 존재치 않는다. 계몽이라니. 21세기에!
그런데 일부 미디어들은 정말로 계몽스럽게 표현한다. 마치 “몰랐지? 이런 것도 모르니?”라면서 대단한 것을 내밀 듯 쓴다. 읽어보면 별거 없다. 나무의 뒷면에 있는 작은 등걸을 두고 그 나무 전체를 욕하는 것과 다를바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지방지라고 그걸 몰라서 안 쓰는 게 아니다. 가치가 없기 때문에 활자를 낭비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고보니 웃기기도 하다. 전국의 지방지가 지원받는 지역발전위원회의 전체 금액이 서울 지역 미디어 한 곳 지원금액보다도 적은 상황에서, 정작 혜택이 적은 지방지가 국민 성향을 반영하기 위해 아등바등 하고 있다는 것 말이다.
말이 길었다. 새로운 세상이 왔다. 그렇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다. 잘한 것은 잘한 것이고 잘못한 것은 잘못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판단 기준은 대중이다. 대중들이 환호하고 바라는 것이 미디어가 다뤄야 할 핵심이며, 대중들이 찬사를 보내는 것에 박수를 쳐주는 것도 미디어가 할 일이다. 미디어는 고고한 학이 아니다. 소식을 전해주는 펠리컨이다. 지금까지 그래왔듯 앞으로도 쭉 말이다. 그러니 ‘기레기’란 단어를 쓸 때는 그런 미디어들을 특정해주길 바란다.
그래야 지목 당하지 않는 미디어들은 자존감을 다독이며 앞으로 쭈욱 나가지 않겠는가. 새 세상에서 독자님들의 응원을 바란다.
언론생활을 하면서 지금까지 정권 바뀌는 것을 몇 번이나 보아왔다.
패턴은 늘 비슷했다. 보수 정권이라고 부르는 이들이 들어오면 언론들 상당수는 밀월 기간을 즐겼다. 진보 정권이 들어오면 일부를 제외하고는 공격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남일보야 광주에 있는 언론사이기 때문에 지역민의 성향이 그대로 나올 수밖에 없다.
광주에서는 글 잘 못 쓰면 돌 맞는 것은 당연지사고, 지역민의 의중을 파악하지 못하면 “거기 배레 부렀어”라는 지청구가 바로 날아온다.
이 지역이야 5·18을 경험하면서 독재, 혹은 독재 비슷한 것에는 체질적으로 치를 떨 수밖에 없는 이들이 태반이고, 그들을 독자로 둔 신문사이기에 지역민의 성향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 이것 또한 사실 우리의 자랑이다.
광주, 전남이 아니라면 지난 12월 계엄때부터 목숨을 걸고 기사를 쓸수 있었겠는가.
덧붙여 전남일보의 논조는 독자를 가르치려 들지 않는다. ‘계몽’이라는 턱 없는 객기는 태생부터 존재치 않는다. 계몽이라니. 21세기에!
그런데 일부 미디어들은 정말로 계몽스럽게 표현한다. 마치 “몰랐지? 이런 것도 모르니?”라면서 대단한 것을 내밀 듯 쓴다. 읽어보면 별거 없다. 나무의 뒷면에 있는 작은 등걸을 두고 그 나무 전체를 욕하는 것과 다를바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지방지라고 그걸 몰라서 안 쓰는 게 아니다. 가치가 없기 때문에 활자를 낭비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고보니 웃기기도 하다. 전국의 지방지가 지원받는 지역발전위원회의 전체 금액이 서울 지역 미디어 한 곳 지원금액보다도 적은 상황에서, 정작 혜택이 적은 지방지가 국민 성향을 반영하기 위해 아등바등 하고 있다는 것 말이다.
말이 길었다. 새로운 세상이 왔다. 그렇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다. 잘한 것은 잘한 것이고 잘못한 것은 잘못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판단 기준은 대중이다. 대중들이 환호하고 바라는 것이 미디어가 다뤄야 할 핵심이며, 대중들이 찬사를 보내는 것에 박수를 쳐주는 것도 미디어가 할 일이다. 미디어는 고고한 학이 아니다. 소식을 전해주는 펠리컨이다. 지금까지 그래왔듯 앞으로도 쭉 말이다. 그러니 ‘기레기’란 단어를 쓸 때는 그런 미디어들을 특정해주길 바란다.
그래야 지목 당하지 않는 미디어들은 자존감을 다독이며 앞으로 쭈욱 나가지 않겠는가. 새 세상에서 독자님들의 응원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