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진압 장기화 조짐
불덩이 200~300개 추가 발견
공장 붕괴 위험 소방대원 철수
공장 붕괴 위험 소방대원 철수
입력 : 2025. 05. 19(월) 18:04

19일 광주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 발생 사흘째, 국과수, 경찰, 소방 등 관계자가 화재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이정준 기자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가 주불은 진화했으나 완진에는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화재 원인으로 지목됐던 타이어 덩어리 수백 개가 공장 2층에서 불타고 있지만 공장 붕괴 위험에 소방대원들의 접근이 어려워 진화에 난항을 겪고 있다.
19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당국은 이날 오후 화재 최초 발화지점인 2공장 2층에서 60~80m 떨어진 지점에서 잔불덩이 200~300개가 추가로 발견했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최초 발화 지점으로부터 약 150m 떨어진 공간에서 고무와 천·철사의 혼합물이 둥근 덩어리가 돼 불타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11시29분께 진화 작업 도중 2층 천장에서 낙하물이 떨어지자 모든 대원들을 탈출시켰다.
건물 2층과 3층 바닥이 아래로 10~15㎝가량 꺼지는 현상이 발생, 소방당국은 건물붕괴 조짐으로 보고있다.
소방당국은 현재로서는 잔불덩이들이 모인 지점에 물을 직접 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해 3층 위 옥상을 중장비로 뚫어 2층을 드러내 물을 뿌리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오전에 투입했던 고성능 파괴차 사용 또한 공장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판단해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김관호 광산소방서장은 “공장 붕괴 조짐이 있어 소방 대원들을 모두 철수시켰다”며 “이날 완진을 목표로 했지만, 곳곳에 있는 잔불덩이 추가 발견 등으로 현재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고 말했다.
이정준 기자 jeongjune.lee@jnilbo.com
화재 원인으로 지목됐던 타이어 덩어리 수백 개가 공장 2층에서 불타고 있지만 공장 붕괴 위험에 소방대원들의 접근이 어려워 진화에 난항을 겪고 있다.
19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당국은 이날 오후 화재 최초 발화지점인 2공장 2층에서 60~80m 떨어진 지점에서 잔불덩이 200~300개가 추가로 발견했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최초 발화 지점으로부터 약 150m 떨어진 공간에서 고무와 천·철사의 혼합물이 둥근 덩어리가 돼 불타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이날 오전 11시29분께 진화 작업 도중 2층 천장에서 낙하물이 떨어지자 모든 대원들을 탈출시켰다.
건물 2층과 3층 바닥이 아래로 10~15㎝가량 꺼지는 현상이 발생, 소방당국은 건물붕괴 조짐으로 보고있다.
소방당국은 현재로서는 잔불덩이들이 모인 지점에 물을 직접 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해 3층 위 옥상을 중장비로 뚫어 2층을 드러내 물을 뿌리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오전에 투입했던 고성능 파괴차 사용 또한 공장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판단해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김관호 광산소방서장은 “공장 붕괴 조짐이 있어 소방 대원들을 모두 철수시켰다”며 “이날 완진을 목표로 했지만, 곳곳에 있는 잔불덩이 추가 발견 등으로 현재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고 말했다.
